[이지 돋보기] 은행권, 올 1분기 기술신용대출 16조 급증…‘코로나19’ 경기 침체 속 리스크 관리 부담↑
[이지 돋보기] 은행권, 올 1분기 기술신용대출 16조 급증…‘코로나19’ 경기 침체 속 리스크 관리 부담↑
  • 문룡식 기자
  • 승인 2020.06.09 08:5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픽사베이, 뉴시스
사진=픽사베이, 뉴시스

[이지경제] 문룡식 기자 = 은행권의 기술신용대출 잔액 규모가 올해 들어서만 16조원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중소기업의 자금 수요가 늘고, 정부의 각종 금융지원이 이뤄짐에 따라 대출이 급증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은행권 안팎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기업의 경영 환경이 크게 악화된 상황에서, 무담보 성격의 기술신용대출 급증이 은행권에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9일 전국은행연합회에 따르면 3월 말 현재 국내 17개 은행이 보유한 기술신용대출 잔액은 221조8679억원으로 2019년 말(205조4834억원) 대비 7.9%(16조3845억원) 늘었다.

증가세가 심상치 않다. 지난해 총 증가액은 38조9876억원. 올해 1분기에만 벌써 절반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기술신용대출은 우수한 기술은 갖고 있지만 자본이 부족해 성장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 등에 기술력을 담보로 자금을 빌려주는 제도다.

일반적인 기업대출과는 달리 기업이 보유한 기술에 대한 평가 비중이 높다. 여기에 우대금리를 제공하고 대출한도를 높여줌으로써 원활한 자금조달을 돕는다. 이에 기술력은 있지만 규모가 작아 일반 기업대출이 힘든 창업 및 벤처기업의 자금조달에 주로 활용된다.

기술신용대출 월별 추이를 살펴보면 ▲1월에는 209조437억원으로 전월(205조4834억원)보다 1.7%(3조4603억원) 증가하는데 그쳤다. ▲그러나 2월에는 213조2761억원으로 2.0%(4조2324억원) 늘었고 ▲3월(221조8679억원) 들어 4.0%(8조5918억원) 등으로 증가폭이 지속적으로 확대됐다.

더욱이 3월 증가액은 2015년 6월(10조661억원) 이후 최대치다. 2015년이 기술신용대출 도입 초창기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증가세가 상당한 셈이다.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리스크

문제는 기술신용대출 급증이 은행권의 리스크를 확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 돼 경기 침체가 계속되고 있다. 특히 2분기는 코로나 충격이 본격화되면서 경제 상황이 더욱 악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높다.

이에 기업들의 경영 여건과 대출 상환 여력은 더욱 위축될 수밖에 없다. 실제로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0년 5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기업의 자금사정BSI는 64로 사상 최저 수준이다.

자금사정BSI는 기업이 자금사정과 전망을 지수화한 것이다. 기준치인 100보다 낮을수록 비관적으로 여기고 있는 기업이 많다는 뜻으로, 그만큼 자금압박을 느끼는 기업이 많음을 의미한다. 자금사정이 어려운 만큼 빚을 갚기에 벅찬 기업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기술신용대출은 기업의 기술력을 측정해 돈을 빌려주는 무담보 대출인 만큼, 기업이 상환하지 못하면 고스란히 은행의 부담으로 전가될 수밖에 없다.

익명을 원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기술신용대출은 아무래도 창업 초기 기업이 대상인 경우가 많은 만큼 불확실성이 높아 기존 중소기업대출보다 리스크에 취약하다”며 “대출을 실행한 기업 다수의 경영여건이 잘 풀리지 않을 경우, 은행에도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일각에서는 기술신용대출의 급증세가 은행권의 리스크 뇌관으로 작동할 가능성이 낮다는 의견도 나온다.

익명을 원한 또 다른 은행권 관계자는 “기술이 있는 기업이라고 모두 돈을 빌려주는 것이 아니고, 은행의 신용평가를 통해 기준에 부합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력을 평가해 혜택을 주는 구조”라며 “연체율과 부실율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있어 향후 리스크로 작용할 가능성은 낮다”고 피력했다.

전문가들은 기술신용대출의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서는 질적 개선과 민간 위주의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송재만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이와 관련, “금융당국이 실적 평가 등을 통해 개입을 하고 있기 때문에 기술금융을 공급하는 금융회사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면서 “민간 주도의 기술금융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 금융회사는 양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심사 인력 확충과 평가 모형 고도화 등 질적인 개선을 지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룡식 기자 bukdh@ezyeconomy.com

  •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광로 88, 4F(방배동, 부운빌딩)
  • 대표전화 : 02-596-7733
  • 팩스 : 02-522-7166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민이
  • ISSN 2636-0039
  • 제호 : 이지경제
  • 신문사 : 이지뉴스
  •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01237
  • 등록일 : 2010-05-13
  • 발행일 : 2010-05-13
  • 대표이사·발행인 : 이용범
  • 편집인 : 이용범, 최민이
  • 편집국장 : 김성수
  • 이지경제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이지경제.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ezyeconomy.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