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와 협업, 택시뒷자리 통신망구축
사용기간따라 요금할인과 택시 요금포인트 지급
[이지경제=윤현옥 기자] LG유플러스가 카카오택시에 통신 인프라를 구축하고 택시비도 절약할 수 있는 알뜰폰 요금제를 운영한다.
LG유플러스는 국내 택시 호출 서비스 카카오T를 운영하는 카카오모빌리티와 함께 달리는 택시에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통신 인프라를 구축하고, 알뜰폰을 쓸수록 교통비를 절감할 수 있는 MVNO 요금제를 내놨다고 16일 밝혔다.

양사 고객 로열티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마련 및 광고 사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의 일환이다.
LG유플러스는 카카오택시의 ‘차량 뒷좌석 엔터테인먼트(RSE, Rear Seat Entertainment)’ 서비스에 통신 인프라를 공급한다. RSE는 승객이 택시 뒷좌석에서 영화·드라마 등 영상 콘텐츠를 시청하고, 운행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다.
LG유플러스는 부착된 RSE용 태블릿을 통해 콘텐츠가 송출될 수 있도록 1만건의 통신 회선을 제공한다. 승객은 LG유플러스의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 운행 경로와 각종 영상 콘텐츠를 끊김없이 이용할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RSE 서비스 확산에 맞춰 카카오T에 제공하는 통신 회선도 확대 제공할 계획이다.
두 회사의 역량을 결합한 알뜰폰 제휴 요금제도 출시했다.
LG유플러스의 알뜰폰 파트너사인 ‘스마텔’이 카카오T 포인트와 연계해 내놓은 상품은 '통신X교통 더블할인 11GB', '통신X교통 더블할인 15GB) 2종이다.
신규 알뜰폰 요금제는 사용 기간이 늘어날수록 더 많은 할인을 제공하고, 매월 LG U+를 지급한다. 요금제 사용 기간에 따라 5500~8800원 할인과 카카오택시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를 지급받을 수 있다.
이달 16일부터 스마텔의 ‘통신X교통 더블할인 요금제’에 가입한 선착순 1000명에게는 카카오T 포인트(2만 포인트)를 추가로 증정하는 프로모션도 진행한다.
향후 양사는 RSE와 MVNO 제휴 요금제를 넘어 다양한 분야에서 협업을 이어갈 계획이다. LG유플러스의 IPTV·모바일 기반 광고와 카카오모빌리티의 RSE 서비스를 묶은 패키지 상품을 출시하고, 양사 데이터를 활용한 타겟팅 광고 상품 등 신규 사업 발굴도 추진할 방침이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고객에게 차별화된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카카오모빌리티와 손을 잡고 새로운 서비스를 준비했다”며 “통신 인프라 기반의 RSE 사업과 알뜰폰 요금제를 넘어 향후 광고 사업 분야에서도 카카오모빌리티와 적극적인 협업을 이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윤현옥 기자 news@ezyeconom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