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보증 못 받는 '4억 초과' 전세 1년 새 급증
국가 보증 못 받는 '4억 초과' 전세 1년 새 급증
  • 최고야
  • 승인 2014.03.03 10:2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도시 중소형 고가 전세 74% 올라…서울 전세 수요 수도권 외곽 대거 이주

 

 

[이지경제=최고야 기자] '2.26 임대차시장 선진화 방안'으로 전세대출의 국가보증을 받지 못하는 4억원 초과 전세 아파트가 신도시를 중심으로 1년새 크게 급증했다.

3일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박근혜 정부 취임 1년간 4억원 초과 고가 아파트가 수도권 신도시는 47.0%, 경기권은 41.0% 각각 증가했다. 특히 66~99㎡대 중소형 아파트는 74.0% 급증했다.

수도권 4억원 초과 고가전세 아파트는 35만7,203가구로 1년 전(26만4,237가구)보다 26.0% 증가했다. 권역별로는 △신도시 47.2% △경기도 41.0% △서울 21.3% △인천 28.9% 등이다.

권일 닥터아파트 리서치팀장은 "고가 아파트가 수도권, 신도시를 중심으로 급증하고 있는 이유는 서울 전세 수요들이 전셋값 급등으로 수도권 외곽으로 대거 이주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서울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 곳은 성북구다. 612가구에서 2,508가구로 늘어나 75.2%가 증가했다.

길음뉴타운9단지(래미안) 107~109㎡대, 길음뉴타운8단지(래미안) 111~112㎡ 등 길음뉴타운 일대 단지들의 전셋값이 오르면서 고가전세가 급증했다.

이어 강서구(14,34가구→4,966가구, 71.1%), 도봉구(160가구→552가구, 71.0%), 성동구(3,417가구→8,681가구, 60.6%), 강동구(3,843가구→7,099가구, 45.8%), 마포구(6,182가구→1만1,297가구, 43.5%) 순으로 고가전세 아파트 크게 늘었다.

고가전세가 몰린 강남 3구는 강남구 14.6%, 송파구 12.9%, 서초구 10.7% 각각 증가하는데 그쳤다.

수도권 1, 2기 신도시중 고가전세가 가장 늘어난 곳은 광교신도시. 1년전 14가구에 불과했으나 2,112가구로 늘어나 99.3%에 달했다.

광교신도시도 입주 초기 낮은 전셋값을 보이다 재계약 시점에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광교자연&자이1,3단지(150㎡대), 광교래미안 170㎡대 등이 고가전세에 포함됐다.

이어 평촌(981가구→2,407가구, 59.2%), 분당(1만6,504가구→3만1,274가구, 47.2%), 판교(7,527가구→1만2,862가구, 41.4%) 순으로 고가전세가 늘었다.

경기도에서는 부천시 약대동 약대아이파크 208㎡가 1년 새 전셋값 4억원을 넘어 100%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어 의왕이(226가구→2,492가구, 90.5%), 고양시(240가구→1,668가구, 85.6%), 광명시(1,367가구→2,707가구, 49.5%) 순으로 고가전세가 늘었다.

주택형별 고가전세 증가세는 99㎡ 대가 9만934가구에서 14만6,759가구로 38.0%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

이어 66㎡대가 1만73가구에서 1만5,731가구로 36.0% 증가율을 기록했다. 전세시장도 중소형 수요가 몰려 고가전세가 크게 늘었다.

그 외 주택형은 132㎡대(8만1,308가구→10만5,416가구. 22.9%), 165㎡대(4만8,594가구→5만4,336가구, 10.6%),198㎡대 이상(3만3,328가구→3만4,961가구, 4.7%) 순을 기록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2월 26일 '서민 중산층 주거안정을 위한 임대차 시장 선진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4억원 초과 전세대출에 대한 공적보증 지원을 제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4억원 초과의 고가 전세를 보유한 임차인이 매매 수요로 갈아탈 가능성이 커지면서 고가 아파트 전셋값도 조정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권 팀장은 "오는 4월부터 4억원이 넘는 고가전세에 대해 주택금융공사의 전세보증서 발급이 중단될 경우 고가 전세입자의 매매수요가 늘어나 전셋값이 장기적으로 보합세로 돌아설 것"이라고 말했다.


최고야 cky@ezyeconomy.com

  •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광로 88, 4F(방배동, 부운빌딩)
  • 대표전화 : 02-596-7733
  • 팩스 : 02-522-7166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민이
  • ISSN 2636-0039
  • 제호 : 이지경제
  • 신문사 : 이지뉴스
  •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01237
  • 등록일 : 2010-05-13
  • 발행일 : 2010-05-13
  • 대표이사·발행인 : 이용범
  • 편집인 : 이용범, 최민이
  • 편집국장 : 김성수
  • 이지경제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이지경제.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ezyeconomy.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