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체크] 카드사, “효자가 없다” 푸념…문정부 규제에 카드론까지 ‘제동’
[이슈 체크] 카드사, “효자가 없다” 푸념…문정부 규제에 카드론까지 ‘제동’
  • 문룡식 기자
  • 승인 2017.10.23 09:17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픽사베이

[이지경제] 문룡식 기자 = 카드업계가 효자 노릇을 하던 카드론 수익 감소에 깊은 한숨을 내쉬고 있다.

더욱이 문재인 정부가 가계대출 부실화 대책의 일환으로 제2금융권의 대출을 사실상 제한한 여파여서 일시적 현상이 아닌 이른바 ‘직격탄’이라는 점에서 고민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설상가상 정부가 카드 수수료율 구간 인하 정책을 추진함에 따라 가맹점 수수료 수익 감소도 걱정해야 하는 등 엎친데 덮친격이다.

23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등록된 7개(KB국민·롯데·삼성·신한·우리·하나·현대카드) 전업카드사의 최근 3년(2014년 6월~올해 6월)간 카드론 실적과 현황을 분석한 결과, 올 2분기 카드론 이용액은 8조8655만4300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8조9048억2400만원)보다 0.4%(392억8100만원) 줄었다. 카드론 이용액이 감소한 것은 지난 2015년 4분기 이후 6분기 만에 처음이다.

카드론은 최근 3년 간 성장을 지속했다. 2014년 6월말 16조3066억5200만원이었던 카드론 잔액은 올해 6월말 기준 24조4069억3700만원으로 49.6%(8조1002억8500만원) 불어났다. 카드론 잔액이 카드사의 총 카드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같은 기간 21.3%에서 24.5%로 3.2%포인트 상승했다.

카드론은 금융당국의 연이은 카드 수수료율 인하 정책으로 수익 감소가 불가피해지자, 카드사들이 ‘수익 다각화’를 내세우며 카드대출 영업에 공을 들인 까닭이다. 여기에 장기간의 저금리 기조로 카드채 금리가 하락하면서 저렴한 조건으로 대출 자금조달이 가능해지는 등 시기적인 요인도 맞았다.

이에 카드사들이 1분기 동안 카드론으로 벌어들이는 금액은 2014년 2분기 5952억7500만원에서 올해 같은 기간 8352억2400만원으로 40.3%(2399억4900만원) 늘었다. 이는 가맹점 수수료(2조2338억4900만원·올해 2분기 기준)의 37.3% 비중으로, 명실상부 카드사의 두 번째 수익원으로 자리매김한 것.

그래픽=이민섭기자

부실화

카드론의 앞날이 밝지만은 않다. 금융당국이 가계부채를 잡기 위해 카드사를 비롯해 저축은행, 캐피탈 등 제2금융권을 대상으로 ‘대출 총량제(권고사항)’를 시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출 총량제는 제2금융권의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이 10%를 넘지 않도록 하고, 분기별 대출 증가율이 전년 동기 증가율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같은 권고 사항은 카드사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했고, 결국 올 2분기 이용 실적이 6분기 만에 줄어들게 됐다.

앞으로도 문제다. 카드론이 가계부채 부실화의 한 요인으로 지목돼 카드사 입장에서 관련 영업 확대를 재개하기 쉽지 않고 이 때문에 카드론 수익 감소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카드론 이용자 중 대다수가 다중채무자 및 중·저신용자다. 부실화가 우려되는 대목이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12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 받은 ‘카드사별 카드론 잔액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카드론 잔액 24조4069억3700만원 가운데 대출기관으로부터 3건 이상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의 잔액은 14조8615억원으로 전체의 60.8%에 달했다. 2건의 대출을 받은 차주(대출자)의 카드론 잔액도 6조1687억원(25.2%)으로 집계됐다. 반면 1건의 카드론 대출만 받은 차주의 잔액은 3조3768억원으로 13.8%에 불과했다.

여기에 대다수 차주들의 신용등급이 높지 않다는 점도 문제다. 신용등급별 카드론 잔액을 보면 5등급 차주가 7조5507억원으로 전체의 30.5%의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6등급 6조7324억원(27.6%), 7등급 4조2688억원(17.5%) 순으로 중신용자(5~7등급) 차주 비중만 75.6%에 달한다.

저신용·다중채무 등 취약 차주 비중이 높을수록 대출 부실화가 일어날 위험성도 증대된다. 빚을 갚을 수 있는 여력이 일반 차주에 비해 낮은 만큼 연체자 비율도 그만큼 높은 탓이다.

딜레마

실제로 한국은행이 지난 6월 발표한 ‘2017년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올 3월말 기준 카드론 연체율은 2.2%로, 카드결제인 판매신용 할부 연체율(0.5%)이나 일시불 연체율(0.8%) 보다 3~4배 높은 수준이었다.

더욱이 최근 미국과 유럽에서 금리를 인상하는 등의 외부 요인으로 국내에서도 기준금리 인상 시기를 조율하고 있는 상황이다. 금리가 오르면 상환 부담 증가로 빚을 제때 갚지 못하는 채무자들이 늘면서 대출 부실을 양산할 위험성이 높아진다.

박 의원은 “카드론은 빌릴 때는 적은 이자를 물지만 연체 시 20%가 넘는 고리로 전환되기 때문에 양면성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며 “카드사들은 상대적으로 수입을 올리기 용이한 카드론 사업에 집중하기보다 수익구조를 다변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꼬집었다.

그러나 카드업계는 국내 시장이 이미 포화상태에 다다른 만큼 수익구조 다변화와 새로운 먹거리 발굴이 쉽지 않다는 입장이다.

익명을 요구한 카드업계 관계자는 “최근 몇 년간 연이은 수수료율 인하 정책으로 더 이상 가맹점 수수료로는 수익 증대를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카드론도 금융당국이 대출 기준을 두고 제한을 요청한 상황이라 이를 무시할 수 없는 노릇이다”고 토로했다.

이어 “카드 사용량이 매년 늘고 있어 낮아진 수수료에도 불구하고 수익은 유지되는 상황이지만 판매관리비 등 지출액 역시 증가하는 상황이라 순이익은 줄고 있다”며 “카드사들이 해외진출 등 새로운 수익원 발굴에 나서고 있지만 유의미한 성과를 내리라고는 아직 장담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문룡식 기자 bukdh@ezyeconomy.com

  •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광로 88, 4F(방배동, 부운빌딩)
  • 대표전화 : 02-596-7733
  • 팩스 : 02-522-7166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민이
  • ISSN 2636-0039
  • 제호 : 이지경제
  • 신문사 : 이지뉴스
  •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01237
  • 등록일 : 2010-05-13
  • 발행일 : 2010-05-13
  • 대표이사·발행인 : 이용범
  • 편집인 : 이용범, 최민이
  • 편집국장 : 김성수
  • 이지경제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이지경제.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ezyeconomy.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