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 돋보기] 지방 부동산 붕괴 조짐…대구‧광주 제외 ‘미분양 무덤’, “기댈 곳 없다” 아우성
[이지 돋보기] 지방 부동산 붕괴 조짐…대구‧광주 제외 ‘미분양 무덤’, “기댈 곳 없다” 아우성
  • 정재훈 기자
  • 승인 2018.11.15 09:54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이지경제] 정재훈 기자 = 문재인 정부의 9.13 부동산 대책이후 지방 부동산시장의 침체가 지속되고 있다.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이 안정을 되찾은 것과 달리 지방 주택시장은 집값 하락은 물론이고 거래마저 얼어붙었다.

더욱이 대구, 광주 등 일부 광역시를 제외하고는 미분양 무덤으로 불리는 곳이 속출하고 있다.

향후 전망도 불투명하다. 정부가 손을 쓰지 못하기 때문. 공급이 늘고 있지만 지방 주요 산업의 침체가 겹친 까닭이다. 이에 지역 양극화 현상이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15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9월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총 6만596호다.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미분양이 5만2945호로 전체의 87.3%를 차지했다. 초기 분양률도 절반 수준에 그치고 있다.

서울 및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의 미분양 증가는 지역 경제가 무너진 원인이 크다. 특히 군산과 울산, 거제 등은 자동차, 조선 산업이 침체돼 일자리가 줄어들면서 빈집이 급격하게 늘었다. 집값도 자연스럽게 떨어졌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울산의 아파트 가격은 지난 8월 1.24% 하락했다. 집계 이래 가장 큰 낙폭이다. 범위를 넓혀 1년 전 대비 약 10%나 꼬꾸라졌다. 또한 6개월째 미분양이 1000가구 이상을 유지할 정도로 부동산 시장이 가라앉았다.

군산도 GM대우 군산공장 폐쇄의 영향이 적지 않았다. 지난 10월 군산의 아파트값은 1년 전 대비 2.5% 떨어졌다. 전북 지역에서 군산시의 하락폭이 가장 큰 편에 속했다.

서울 및 수도권과 학군, 인프라가 어느 정도 갖춰진 대구, 광주 등 일부 지역을 빼면 전국적으로 공통적인 양상이다.

미분양은 앞으로도 늘어날 전망이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 하반기 지방에 예정된 물량은 14만6415가구로 상반기(7만9216가구)보다 2배 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년에도 상황이 나아진다는 보장이 없다. ‘울며 겨자 먹기’ 분양 물량도 만만치 않다는 후문이다.

악성 미분양의 심각성도 다르지 않다. 지난 9월 기준 전체 악성 미분양 중 약 83.1%가 지방으로 나타났다. 악성 미분양은 준공 후 분양이 되지 않은 물량을 뜻한다. 악성 미분양이 늘면 건설사가 자금을 회수하지 못해 유동성에 큰 문제를 초래한다.

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난국

대형 건설사는 큰 타격이 없지만 지역에 기반을 둔 중소건설사는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파산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익명을 요구한 지방 중소건설사 관계자는 “일부 중소 건설사가 파산하는 등 문제가 심각하다”고 설명한 뒤 “일감을 뺐고 뺐기는 상황이다. 버티기 힘들다”고 토로했다.

실제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 2016년 경남 지역 공사발주액 14조6964억원 중 지역업체 수주율이 34.89%(5조1271억원)에 그쳤다. 이마저도 3년 연속 하락세다.

지방 부동산 시장이 무너진 것은 지역 기반 사업이 무너진 것 때문만은 아니다. 현재 주택은 주거의 개념이 아닌 사실상 투자 혹은 재산 증식의 개념에 가깝다. 이에 서울·수도권으로 돈이 몰리는 것.

반면 지방의 주택은 아파트값이 하락하면서 재산 증식의 기회가 거의 없다. 더욱이 지방 주택을 사는 것보다 수도권의 ‘똘똘한 한 채’의 가치가 더 중요하다는 인식 때문에 지방 주택 가격 하락을 부채질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대한주택건설협회 지역 관계자는 “전북을 비롯해 강원, 경북 지역은 건설, 부동산이 완전히 무너졌다”며 “다른 지역은 정부 규제에 따라 희비가 엇갈릴 정도는 되겠지만 전북 등 지방은 어디서부터 문제를 해결해야 할지 알 수 없다. 총체적 난국이다”라고 진단했다.

9.13 대책도 서울 규제만 집중했을 뿐 지방 주택시장에 대한 뚜렷한 대책이 마련되지 않았다. 더욱이 서울 및 수도권이 고강도 규제의 영향으로 집값이 안정됐음에도 지방 부동산이 활기를 찾은 것도 아니다. 따라서 지방 부동산 침체가 장기화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또 다른 지역 관계자는 “과거 정부에서 공급이 확대되면서 생긴 영향이 적지 않은 것은 사실이다”면서도 “문제는 과거보다 앞으로도 상황이 개선되기 어렵다는 것인데 특정 지역 혹은 정부 차원에서도 방안을 마련할 수 없을 것이다. 단지 지방 경제가 나아지길 기대하는 것이 현재로썬 유일한 방법”이라고 피력했다. 


정재훈 기자 kkaedol07@ezyeconomy.com

  •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광로 88, 4F(방배동, 부운빌딩)
  • 대표전화 : 02-596-7733
  • 팩스 : 02-522-7166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민이
  • ISSN 2636-0039
  • 제호 : 이지경제
  • 신문사 : 이지뉴스
  •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01237
  • 등록일 : 2010-05-13
  • 발행일 : 2010-05-13
  • 대표이사·발행인 : 이용범
  • 편집인 : 이용범, 최민이
  • 편집국장 : 김성수
  • 이지경제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이지경제.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ezyeconomy.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