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 돋보기] 여전사, 은행권 대출 조이자 반사이익?…가계대출 증가세 나홀로 ‘고공행진’
[이지 돋보기] 여전사, 은행권 대출 조이자 반사이익?…가계대출 증가세 나홀로 ‘고공행진’
  • 문룡식 기자
  • 승인 2018.12.10 07:3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이지경제] 문룡식 기자 = 카드와 캐피탈, 리스 등 여신전문금융회사(여전사)를 통한 가계대출이 큰 폭으로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재인 정부의 적극적인 규제 정책 영향으로 은행과 보험, 상호금융 등을 통한 가계대출은 증가세가 둔화됐다. 여전사의 나홀로 고공행진인 셈이다.

더욱이 여전사 주고객이라고 할 수 있는 저소득층이 아닌 중‧고소득층 대출이 늘면서 규제 회피 즉, 풍선효과라는 해석이 나온다.

10일 한국은행의 ‘2018년 3분기 가계신용’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가계부채는 1514조4000억원으로 전년 동기(1419조3000억원) 대비 6.7%(95조1000억원) 증가했다. 지난 2013년 4분기 처음으로 1000조원을 돌파한 이후 약 5년 만에 500조원이 늘었다.

다만 증가세는 다소 꺾인 모습이다. 최근 3년(2015~2017년) 간 3분기 기준 가계부채 잔액과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을 보면 ▲2015년 1164조9000억원(10.3%) ▲2016년 1296조5000억원(11.3%) ▲지난해 1419조3000억원(9.5%)으로 평균 10.4%였다. 이에 비해 올해는 3% 가까이 둔화됐다.

이는 2016년부터 시행된 여신심사 가이드라인과 지난해 주택 안정화 방안, 올해 가계부채 종합대책 등 각종 규제 효과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더욱이 최근 금리 상승기에 들어서면서 향후 가계부채 증가율은 점진적으로 둔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금융업권별로보면 다소 차이가 있다. 올 3분기 말 현재 가계부채 증가율은 ▲상호금융 2.1% ▲보험 5.3% ▲은행 7.8% ▲저축은행 9.5%이다.

여전사의 경우 가계부채 잔액이 올 3분기 64조4727억원으로 전년 동기(58조6113억원) 대비 10.0%(5조8614억원) 늘었다. 나홀로 두 자릿수 증가율이다.

역전

여전사에서 돈을 빌리는 고객 성격에도 변화가 엿보인다. 과거와 달리 중·고소득 차주의 신용대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여전사의 대출 상품인 카드론과 할부금융 등은 상대적으로 저신용·저소득층 고객이 많이 찾았다.

자료=한국금융연구원
자료=한국금융연구원

한국금융연구원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소득분위별 여전사 신용대출 증가율은 2009년부터 2015년까지 대체로 소득 1분위~3분위인 저소득층 그룹에서 높았다. 반면 2016년부터 올해까지는 소득 3분위~소득5분위의 중‧고소득 그룹의 증가율이 가장 높다.

소득 5분위(최상위 20%)의 경우 2015년 신용대출 증가율이 2.8%에 불과했지만 이듬해인 2016년에 15.5%, 지난해는 22.8%까지 치솟았다. 올해도 11.1%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소득 4분위(21~40%) 역시 2016년 6.7%에서 지난해에는 28.7%로 급등했다.

이 같은 변화는 대출 규제 강화에 따른 이동 효과로 풀이된다. 실제로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리스크 관리를 위해 2016년부터 올해까지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을 시행, 지역과 권역별로 범위를 넓혀 왔다. 이 시가와 중‧고소득 차주의 여전사 신용대출 증가가 맞물린다.

중‧고소득 차주 비중이 높아지면서 여전사의 건전성은 개선됐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말 기준 국내 여전사(카드사 제외) 연체율은 1.97%로 전년 동기(2.07%) 대비 0.1%포인트 개선됐다. 고정이하여신비율도 같은 기간 2.16%에서 1.93%로 하락했다. 카드사 역시 카드대출 연체율이 이 기간 동안 2.34%에서 2.33%로 0.01%포인트 내렸다.

익명을 요구한 카드사 관계자는 “수익성 확대를 위해 카드론 비중을 늘리는 상황에서 최근 대출 수요도 눈에 띄게 증가했다”며 “제1금융권 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카드론으로 눈을 돌린 차주들도 상당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다만 신용대출이 중‧고소득층으로만 확대돼 저소득층에 대한 금융 접근성이 저하되는 ‘구축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박춘성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우리나라 총 가계부채 증가율이 여전히 소득증가율보다 높다는 점에서 가계부채 증가율을 점진적으로 낮춰 잠재적 리스크에 대비하는 것은 바람직하다”면서도 “저소득층 금융 접근성 저하를 점검하고, 긴급생활자금 등 저소득층을 위한 조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문룡식 기자 bukdh@ezyeconomy.com

  •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광로 88, 2F(방배동, 부운빌딩)
  • 대표전화 : 02-596-7733
  • 팩스 : 02-522-7166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민이
  • ISSN 2636-0039
  • 제호 : 이지경제
  • 신문사 : 이지뉴스
  •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01237
  • 등록일 : 2010-05-13
  • 발행일 : 2010-05-13
  • 대표이사·발행인 : 이용범
  • 편집인 : 이용범, 최민이
  • 편집국장 : 임흥열
  • 이지경제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이지경제.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ezyeconomy.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