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 돋보기] 건설업계, ‘남북경협’ TF 가동 등 기대감 ‘들썩’…“실체 없는 ‘희망고문’” 우려도 확대
[이지 돋보기] 건설업계, ‘남북경협’ TF 가동 등 기대감 ‘들썩’…“실체 없는 ‘희망고문’” 우려도 확대
  • 정재훈 기자
  • 승인 2019.02.08 09:0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뉴시스, 픽사베이
사진=뉴시스, 픽사베이

[이지경제] 정재훈 기자 = 건설업계가 남북경협사업 기대감에 들썩이고 있다.

국내 주택시장 둔화 등의 영향으로 먹거리가 부족해진 상황에서 대북사업이 새로운 재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장밋빛 전망에서다.

국제 정세도 우호적이다. 오는 27일~28일 제2차 북미정상회담이 베트남(하노이 또는 다낭)에서 개최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정상회담을 통해 화해와 변화를 위한 걸음을 한발 더 내딛는다면 남북경협 현실화도 그 만큼 가까워질 수 있다.

해빙 분위기가 점차 무르익으면서 건설사들의 행보도 본격화된 모습이다. 10대 건설사를 중심으로 관련 TF(테스크포스)가 본격 가동되고 있는 것.

기대감이 높다. 하지만 우려도 적지 않다.

미국이 북한을 정상 국가로 인정하고 자유로운 교역이 이뤄지는 등 국제사회의 제재 해제가 선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 같은 전제 조건이 이뤄지지 않으면 실제 착수 가능한 사업이 없다는 게 중론이다.

더욱이 학습효과도 있다. 금강산 개발·관광사업과 개성공단 등 대북사업에 막대한 자금과 인력이 투입됐지만 정치적 문제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설업계가 희망의 끈을 놓지 못하는 것은 이른바 ‘부대효과’ 때문이라는 시각도 나온다. 해빙 분위기가 무르익을수록 건설업 주가가 상승하는 등 활력소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얘기다.

8일 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남북경협사업이 수면 위에 떠오르자 10대(시공능력평가기준) 건설사들이 TF팀을 구성하는 등 관련 사업 준비에 나섰다.

건설사들이 TF 구성 등 본격적인 움직임에 나선 것은 최대 수혜주가 될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 남북경협에서 건설은 교통 인프라 구축 등 초기단계 성장 동력의 핵심이라는 분석이다.

건설사들 역시 교통과 주거 인프라에 주목하고 있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남·북한 인프라 건설협력사업 추진 전략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북한의 주거 인프라는 한국의 1990년대 수준이다. 철도, 도로 등 교통인프라 역시 노후 되거나 시설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필요한 비용만 100조원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2014년 ‘한반도 통일과 금융의 역할 및 정책과제’에서 북한의 인프라 개발 비용을 철도 773억달러, 도로 374억달러 등 총 1392억달러 (약 150조원)로 추산한 바 있다.

익명을 요구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사업이 당장 눈앞으로 다가온 것은 아니지만 TF를 구성해 사업을 적극 검토하며 대비하고 있다”며 “우리뿐만 아니라 모든 건설사가 남북경협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건설사 입장에서 가장 주목하고 있는 것은 교통기반시설이다. 북한의 교통 인프라는 상당히 열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면서 “정치적 불안 요소들이 제거만 된다면 북한이 제2의 중동이 되지 말라는 법이 없다”고 덧붙였다.

익명을 요구한 또 다른 대형 건설사 관계자도 “이달 말로 예정된 북미정상회담 결과에 따라 남북경협의 가능성이 점쳐질 것”이라며 “불확실성만 해소된다면 북한행 티켓을 마다할 건설사는 없을 것”이라고 피력했다.

이어 “남북합작 건설법인 설립 등 여러 가지 방향을 열어놓고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며 “모처럼 찾아온 좋은 기회다. 손을 놓고 기다릴 수만은 없다”고 강조했다.

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우려

건설사들이 인정하는 것처럼 현실은 녹록치 않다. 정치적 변수가 많기 때문이다. 현재 훈풍이 불고 있지만 과거 사례를 보더라도 언제든지 급변할 수 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북미회담으로 긍정적인 이슈가 생산되고 있지만 북한은 왕조(독재자) 국가라는 사실을 잊으면 안 된다”면서 “정치적 불안 요소가 항상 함께하고 있다는 것이 변수”라고 진단했다.

이어 “2000년대 초중반 남북의 분위기는 당장이라도 좋아질 것처럼 흘러갔지만 결국은 금강산 피살사건 이후 흐지부지 됐다”며 “남북경협은 우리 정부와 국제사회의 행보에 따라 방향이 결정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북한의 폐쇄성도 사업의 걸림돌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분단 이후 개별 기업이 북한의 실제적 경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했다. 과거 금강산 개발사업, 개성공단 등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보를 취합해도 건설 입장에서는 추상적인 것에 불과할 수밖에 없다. 그만큼 돌발 변수 등 리스크가 크다는 의미다.

이 책임연구원은 “건설사가 국정원도 아니고 대북 관련 정보를 얻는 것은 제한적이다”라며 “TF를 구성해서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지만 북한의 실제 모습이 반영되지 않으면 모든 것이 불확실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해 북한과의 경협이 어떤 방향성인지 알 수가 없다는 것”이라며 “예를 들어 철도 관련한 사업이라 해도 유라시아철도가 될 것인지 중국을 통할 것인지 혹은 언제 어떤 형식으로 진행될 것인지 아무도 모르는 상황이다”라고 덧붙였다.

반면 일각에서는 과거 모범적인 사례를 이어갈 수만 있다면 남북경협이 건설업계에 새로운 블루칩이 될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홍성진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우리나라는 이미 개성공업지구, 지방자치단체, 비정부단체(NGO)를 중심으로 건설협력 사업이 이뤄졌고 이중 모범적인 사례도 있다"며 "관련 사례를 반영한다면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피력했다. 


정재훈 기자 kkaedol07@ezyeconomy.com

  •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광로 88, 2F(방배동, 부운빌딩)
  • 대표전화 : 02-596-7733
  • 팩스 : 02-522-7166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민이
  • ISSN 2636-0039
  • 제호 : 이지경제
  • 신문사 : 이지뉴스
  •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01237
  • 등록일 : 2010-05-13
  • 발행일 : 2010-05-13
  • 대표이사·발행인 : 이용범
  • 편집인 : 이용범, 최민이
  • 편집국장 : 임흥열
  • 이지경제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이지경제.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ezyeconomy.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