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한 혁신' 나선 김준 SK이노베이션 사장…"오는 2025년까지 배터리 생산량 20배↑"
'독한 혁신' 나선 김준 SK이노베이션 사장…"오는 2025년까지 배터리 생산량 20배↑"
  • 이민섭 기자
  • 승인 2019.05.27 16:29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준 SK이노베이션 총괄사장. 사진=뉴시스
김준 SK이노베이션 총괄사장. 사진=뉴시스

[이지경제] 이민섭 기자 = SK이노베이션이 오는 2025년까지 전기차 배터리 생산규모를 현재의 20배 수준으로 확대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또 배터리·소재·화학 등 신성장 사업 자산 비중을 늘리고 e-모빌리티(이동성)와 에너지 솔루션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한다.

김준 SK이노베이션 총괄사장은 27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간담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행복한 미래를 위한 독한 혁신'이라는 제목의 성장전략을 발표했다.

김 사장은 "딥체인지2.0의 핵심인 글로벌과 기술(Tech) 중심의 전사의 경영 전략에 '그린 이니셔티브(Green Initiative)를 추가해 3대 성장전략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친환경의 상징인 배터리 사업의 경쟁력을 키우고 이를 기반으로 e-모빌리티와 에너지 솔루션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겠다는 복안이다.

현재 전기차 배터리 생산 중심의 사업구조를 뛰어 넘어 배터리 관련 수직계열화로 전방위 산업을 아우를 수 있는 'BaaS(Battery as a Service·배터리를 새로운 서비스 플랫폼으로 만드는 전략)'를 구축하겠다는 게 핵심이다.

배터리 생산뿐만 아니라 수리와 렌탈, 충전, 재사용, 재활용 등 5R(Repair, Rental, Recharge, Reuse, Recycling) 영역에 참여하면서 에너지 솔루션·e-모빌리티 사업으로 지배력을 넓히겠다는 것.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2025년 배터리·소재·화학 등 신성장 사업 자산비중을 60%까지 늘리기로 했다.

배터리 사업에서는 2025년 세계 배터리 시장에서 3위 업체로 진입하기 위해 430GWh인 현 수주 잔고를 2025년 기준 700GWh로 확대한다. 연간 약 5GWh 수준인 생산 규모도 100GWh까지 키우기로 했다.

이를 위해 차세대 배터리 핵심 기술인 'NCM 9½½'를 2021년 상용화해 글로벌 자동차 업체에 공급하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이 기술은 니켈-코발트-망간 비율이 '90%-5%-5%'인 배터리로 1회 충전에 500㎞ 이상을 달릴 수 있다.

배터리 분리막(LiBS) 사업은 중국과 폴란드 외에 글로벌 생산시설을 추가로 확충해 2025년까지 연 25억㎡ 이상의 생산 능력을 키워 시장 점유율 30%를 달성할 방침이다.

에너지저장장치(ESS) 사업에도 본격 진출한다. 산업용과 주거용 등 세분화된 시장 특성에 맞춰 배터리를 개발하고 가상발전소(VPP), EMS(Energy Management System), 에너지 저장 등의 사업도 추진해 종합적인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구상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핵심 소재 FCW는 폴더블 스마트폰 외 TV,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등으로 확장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화학사업'은 글로벌과 기술을 중심으로 성장을 추진한다.

신규 주력사업 분야로 선정한 패키징(Packaging) 분야는 다우로부터 인수한 패키징 핵심 소재 'EAA/PVDC'를 포함해 고부가 제품 포트폴리오를 인수합병(M&A) 등으로 확보하고, 오토모티브(Automotive) 사업은 기술개발에 집중해 전기자동차 확산과 경량화 추세를 주도한다.

이를 통해 기술기반 고부가 제품군의 이익비중을 현재 4%에서 ‘25년까지 19%까지 5배 늘릴 계획이다.

또 글로벌 파트너링을 확대해 중한석화의 연화일체화 참여와 같은 혁신적인 방식의 글로벌 협력사업을 발굴하고, 폐플라스틱 문제해결을 위해 관련 업체 간 친환경 생태계를 구축키로 했다. 글로벌 영업이익 비중은 현재 24%에서 2025년까지 61%로 키운다는 청사진도 제시했다.

김 사장은 "독한 혁신의 최종 목표는 모든 사업이 아프리카 초원에 안착해 생태계가 행복하게 공존할 오아시스를 파는 것"이라며 "이것이 SK이노베이션이 경제적가치(EV)와 사회적가치(SV)를 동시에 추구하는 'DBL(Double Bottom Line)'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민섭 기자 minseob0402@ezyeconomy.com

  •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광로 88, 4F(방배동, 부운빌딩)
  • 대표전화 : 02-596-7733
  • 팩스 : 02-522-7166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민이
  • ISSN 2636-0039
  • 제호 : 이지경제
  • 신문사 : 이지뉴스
  •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01237
  • 등록일 : 2010-05-13
  • 발행일 : 2010-05-13
  • 대표이사·발행인 : 이용범
  • 편집인 : 이용범, 최민이
  • 편집국장 : 김성수
  • 이지경제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이지경제.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ezyeconomy.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