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 돋보기] 은행권 대출, ‘신용’ 줄고 ‘담보’ 늘고…‘전당포식’ 영업 심화
[이지 돋보기] 은행권 대출, ‘신용’ 줄고 ‘담보’ 늘고…‘전당포식’ 영업 심화
  • 문룡식 기자
  • 승인 2019.09.18 08:5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픽사베이, 뉴시스
사진=픽사베이, 뉴시스

[이지경제] 문룡식 기자 = 은행권에서 부동산 등 담보대출을 늘리는 반면 신용대출 비중은 줄이는 ‘전당포’식 영업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같은 현상은 건전성 유지와 개선에 보다 유리하고 손실 위험이 낮은 담보에 대출 공급이 몰리고 있는 탓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은행권이 위험부담을 최소화하려는 의도가 다분하다는 진단이다. 또 생산적 금융 확산을 위한 제도적 개선에 나서야한다고 주문했다.

18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등록된 6개(KB국민‧신한‧우리‧KEB하나‧NH농협‧IBK기업) 주요 은행의 대출잔액을 분석한 결과, 올해 1분기 기준 원화대출 잔액은 총 1269조2165억원이다. 이중 담보(부동산․동산․유가증권․예금 등)대출이 57.0%(723조7417억원)의 비중을 차지했다. 반면 신용대출 잔액은 349조4791억원으로 전체 대출 중 27.5%에 불과했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KB국민은행의 올 1분기 대출 잔액 257조6690억원 가운데 담보대출은 157조9366억원으로 61.3%의 비중을 차지했다. 반면 신용대출은 60조8091억원으로 23.6%에 머물렀다.

KEB하나은행도 담보대출 비중이 60%를 넘었다. 대출 잔액 203조4798억원 중 담보대출이 127조7889억원으로 62.8%, 신용대출은 43조6390억원으로 21.4%를 차지했다.

IBK기업은행 역시 195조6835억원의 대출 잔액 가운데 121조6931억원을 담보대출로 빌려줬다. 61.2%의 비중이다.

이밖에 신한은행(215조67억원/113조34626억원/52.8%)과 NH농협은행(202조7548억원/111조3917억원/54.9%)도 담보대출 비중이 과반을 넘었다. 이들 은행의 신용대출 비중 역시 각각 29.1%(62조4965억원), 28.9%(58조5747억원)%에 그쳤다.

우리은행은 6개 은행 가운데 유일하게 담보대출 비중이 절반을 넘지 않았다. 총 211조4024억원의 대출잔액 가운데 담보대출 91조4688억원(43.3%), 신용대출은 78조3570억원(37.1%)이다.

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심화

은행권의 전당포식 영업은 날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6개 은행의 담보대출 비중은 지난 2017년 1분기 55.6%였다. 이후 ▲지난해 1분기 56.3% ▲올해 1분기 57% 등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반면 신용대출 비중은 2017년 1분기 30%의 비중을 보였으나 ▲지난해 1분기 28.6% ▲올해 1분기 27.5% 등 감소세가 뚜렷했다.

담보와 신용대출의 격차가 벌어지는 것은 은행권이 건전성 유지 및 개선에 효과적인 부동산 담보대출에 치중해온 탓이다.

실제로 은행 건전성지표로 활용되는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 산정 시 위험가중치는 보통 기업대출이 60%, 가계대출이 25%를 넘나든다. 반면 주택담보대출은 20% 미만이다.

더욱이 신용대출은 담보대출보다 더 많은 충당금을 준비해야 한다. 상환이 막혀도 담보권 실행을 통해 손실의 일정부분을 매울 수 있는 담보대출에 비해 위험성이 높기 때문이다. 은행권 입장에서는 담보대출이 채권 불량 위험 등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도 손쉽게 돈을 벌 수 있는 수단인 것이다.

은행권은 전당포식 영업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는 것과 관련, 위험을 경감시킬 수 있는 담보대출에 집중한 것은 맞지만 신용대출을 소홀히 한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익명을 원한 은행권 관계자는 “최근 몇 년간 부동산 시장 활성화와 리스크 관리 등의 요인으로 부동산 등 담보대출이 늘어났지만 신용대출을 기피하거나 소홀히 했다고 볼 수는 없다”며 “보통 담보가 신용대출보다 한도와 규모 등이 더 큰 탓에 두 대출 사이에 격차가 벌어진 것”이라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은행권이 부동산 위주 담보 금융의 쏠림현상을 완화하고 생산적 금융을 활성화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순호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국내 은행은 위험 회피적 성향으로 대출 시 원리금을 안전하게 회수할 수단인 담보에 크게 의존하는 금융형태를 취하고 있다”면서 “은행 스스로 생산적 금융을 확대할 수 있도록 제도적·관행적 요인들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문룡식 기자 bukdh@ezyeconomy.com

  •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광로 88, 2F(방배동, 부운빌딩)
  • 대표전화 : 02-596-7733
  • 팩스 : 02-522-7166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민이
  • ISSN 2636-0039
  • 제호 : 이지경제
  • 신문사 : 이지뉴스
  •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01237
  • 등록일 : 2010-05-13
  • 발행일 : 2010-05-13
  • 대표이사·발행인 : 이용범
  • 편집인 : 이용범, 최민이
  • 편집국장 : 임흥열
  • 이지경제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이지경제.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ezyeconomy.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