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2년’ 윤석헌 금감원장 “상시 감시체계 보완…신뢰 높일 것”
‘취임 2년’ 윤석헌 금감원장 “상시 감시체계 보완…신뢰 높일 것”
  • 문룡식 기자
  • 승인 2020.04.28 13:5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윤석헌 금융감독원장. 사진=뉴시스
윤석헌 금융감독원장. 사진=뉴시스

[이지경제] 문룡식 기자 =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은 28일 "앞으로 상시 감시체계를 보완하고 금융사의 건전성을 위한 종합검사도 유기적으로 끌고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취임 2주년을 맞은 윤 원장은 이날 서면 기자간담회를 통해 "남은 임기 동안 금감원의 신뢰도 함께 높이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윤 원장은 임기 내내 강조해온 소비자 보호에 대해 "과거 한국 금융이 소비자에 대한 배려가 부족했다고 생각한다“며 ”패러다임을 바꾸고 싶은 생각이 많았다"고 말했다.

그는 2년의 재임 기간 중 가장 큰 고비로 파생결합펀드(DLF) 사태 이후를 꼽았다. DLF 사태는 지난해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이 해외 국채금리 연계형 파생결합펀드 상품을 다수의 고객에게 불완전판매한 사건이다.

금감원은 이에 우리은행과 하나은행 최고경영진에 DLF 원금 손실 사태에 대한 책임을 물어, 수백억원의 과태료와 일부 업무 정지라는 중징계를 내린 바 있다. 현재 금감원과 우리금융은 이를 두고 법정소송 중에 있다.

윤 원장은 이와 관련, “지금 와서 돌이켜 보면 시계를 몇 달 돌려도 내 의사결정은 똑같을 것”이라면서도 "언론에서 상당한 비판을 받았지만 오해와 소통의 문제였고, 이후 조금 더 신중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그는 "소비자 보호를 위해 금융사에 메시지를 줘야 했다"며 "금감원은 제재심 등 제도적인 절차에 따라 징계를 했는데, 너무 과중한 벌을 줬다고 읽혔고 그런 부분에서 비판을 많이 받았다고 본다"고 회고했다.

윤 원장은 라임펀드 사태와 관련해선 "라임자산운용 펀드 이관 전담 회사를 만들고 있다"며 "판매사 중 몇개 회사들이 약간 이견이 있는데 5월 중으로는 조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답했다.

이어 "자산운용국에서 라임관련 검사가 끝나면 제재도 진행될 것"이라며 "분쟁조정국에서도 합동조사가 진행되는데 이번주중 마무리될 예정으로, 제재는 이르면 오는 6월 중에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 원장은 원유 상장지수증권(ETN) 투자 경고 발령과 소위 말하는 ‘동학개미운동’의 배경으로 국내에 단기적 솔루션이 부재하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금리가 낮아지고 부동산을 못하게 억제해 국내 유동자금이 늘어나 돌파구가 필요하다"며 "이러한 것을 금융회사들이 받쳐주지 못하고 있어 동학개미나 ETN으로 나타나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단기투자 중심의 동학개미 중 일부는 돈을 벌고 나머지는 그렇지 못하다"며 "주가가 떨어졌으니 장기로 가져가면 당연히 벌 수 있겠지만, 동학개미의 단기투자는 투자의 기본에서 어긋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전체적으로 자산운용 역량이 높아져야 한다"면서 "라임이나 일부 운용사와 같이 해외로 무작정 진출해서 투자하면 큰 손해를 볼 수 있으니 중위험-중수익으로 가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국내 금융권의 상황은 대체적으로 괜찮다고 평가했다.

윤 원장은 "기업어음(CP)이나 회사채 시장에서 조금씩 문제가 생기기고 있지만, 체계적인 위험으로 가지 않으면서 전체적으로 관리 가능하다고 본다"고 판단했다.

최근 국제통화기금(IMF)은 금융부문 평가 프로그램(FSAP) 보고서에서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에 준하는 스트레스 상황을 가정해 평가를 진행한 결과, 한국의 금융시스템이 전반적으로 복원력이 있다"고 평가한 바 있다.

또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말 기준, 은행 국제결제은행(BIS) 비율이 15.25%이고, 생보사와 손보사 지급여력비율(RBC) 284%, 260%, 증권사 신순자본비율 555%, 저축은행 BIS 비율이 14.8%다.

다만 윤 원장은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은행권의 역량이 중요하다고 봤다.

그는 "코로나 사태가 얼마나 갈지 모르고, 마지막 보루는 그래도 은행"이라며 "이를 위해 장기 성과급과 배당 등을 최대한 유보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은행권의 중장기적인 복원력이 중요해지는 상황이 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룡식 기자 bukdh@ezyeconomy.com

  •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광로 88, 4F(방배동, 부운빌딩)
  • 대표전화 : 02-596-7733
  • 팩스 : 02-522-7166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민이
  • ISSN 2636-0039
  • 제호 : 이지경제
  • 신문사 : 이지뉴스
  •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01237
  • 등록일 : 2010-05-13
  • 발행일 : 2010-05-13
  • 대표이사·발행인 : 이용범
  • 편집인 : 이용범, 최민이
  • 편집국장 : 김성수
  • 이지경제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이지경제.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ezyeconomy.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