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 돋보기] 진격의 ‘쿠팡’ 휴대폰 판매업 진출…“소비자 선택권 확대 vs 골목상권 피해”
[이지 돋보기] 진격의 ‘쿠팡’ 휴대폰 판매업 진출…“소비자 선택권 확대 vs 골목상권 피해”
  • 이민섭 기자
  • 승인 2020.08.27 08: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픽사베이

[이지경제] 이민섭 기자 = 언택트(비대면) 강자 쿠팡이 사업 아이템으로 휴대폰 판매업을 추가했다.

쿠팡이 선택한 자급제 단말기(휴대폰) 유통시장은 이통 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의 통신 서비스 가입을 조건으로 판매하는 전용 단말기와 달리 가전매장, 온라인쇼핑몰 등에서 약정 없이 구입해 사용하는 공기계를 말한다. 즉, 자급제 폰을 구입한 후 자신에게 유리한 통신사를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소비자 선택권 확대와 골목상권 피해가 우려된다는 환영과 반대의 목소리가 극명하게 갈리고 있다.

찬성측은 코로나19가 촉발한 비대면 소비 활성화 차원에서 저변이 확대돼 다양한 선택이 가능해졌다는 입장이다.

반면 단말기 수수료로 수입으로 먹소 사는 휴대폰 판매점주들은 가뜩이나 힘든 상황에서 공룡(쿠팡) 기업의 진출이 골목상권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다.

27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쿠팡은 로켓모바일을 통해 비대면으로 휴대폰을 개통할 수 있는 서비스를 지난 15일 내놨다. 애플 아이폰, 삼성전자의 갤럭시 시리즈 등 주요 브랜드의 휴대폰을 구매한 뒤 KT와 LG유플러스, 알뜰폰 등 통신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아울러 자급제폰 구매를 비롯해 KT, LG유플러스, 알뜰폰 등의 통신사를 로켓모바일을 통해 한 번에 비교하고 가입할 수 있도록 고객 편의를 높였다. 특히 쿠팡의 와우배송 장점인 당일, 새벽, 익일 배송 등을 통해 구매한 제품을 바로 받아볼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쿠팡은 향후 소비자들의 원활한 개통을 돕기 위해 전문 상담사로 구성된 개통센터도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쿠팡의 휴대폰 사업 진출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소비 문화 확산이 단말기 유통시장까지 변화를 불러왔다는 판단에서다.

실제로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에 따르면 국내 스마트폰 시장에서 자급제 채널을 통해 판매되는 스마트폰의 비중은 연내 11.8%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갤럭시노트20의 총 예약 판매량은 16일 현재 약 60만~70만대다. 이 가운데 자급제폰의 비중은 14~16% 수준으로 추산된다. 이는 자급제가 도입된 지난 2012년 이후 최대치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직장인 A씨(35세/남)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발품을 팔아봤지만 보조금이 예전 같지 않다. 그래서 최근 온라인몰을 자급제 모델을 구매했다”며 “피곤함도 줄고 원하는 장소로 직접 배송 받아 볼 수 있어서 만족한다”고 전했다.

익명을 원한 통신사 관계자는 “단말기 자급제 도입 이후 가입자 유치를 위한 업체 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 질 전망”이라며 “소비자 입장에서는 다양한 서비스와 선택권 확대라는 측면에서 나쁘지 않다”고 밝혔다.

아우성

사진=이민섭 기자
사진=이민섭 기자

쿠팡의 휴대폰 사업 진출에 휴대폰 판매점주 등 관련 시장 종사자들은 속이 타 들어가고 있다.

서울 서초구에서 휴대폰 판매점을 운영하는 점주 A씨(45/남)는 “코로나19로 인해 개통을 하러 오는 발길이 급격하게 줄었다”며 “여기에 쿠팡까지 진출했다. 앞으로 고객이 찾지 않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서울 도봉구와 경기도 의정부에서 휴대폰 판매점을 운영하는 B씨(40세/여)와 C씨(49세/남)도 마찬가지.

B씨는 “일부 판매점은 단순 판매채널로서 자체 온라인몰을 운영하는 등 살아남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하지만 대기업들이 할인, 추가 혜택 등을 위해 자체 재원을 활용하면 경쟁 우위가 떨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C씨(49세/남)는 “쿠팡이 휴대폰 판매 사업에 뛰어들었으며, 다른 이커머스 기업이 휴대폰 판매 사업을 하지 말란 법도 없다”며 “대기업의 진출에 결국 중소상공인, 골목상권뿐만 아니라 소비자들도 피해를 입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국이동통신판매점협회도 쿠팡의 휴대폰 판매 사업 진출에 대한 긴급성명서를 내고 “쿠팡은 대기업의 힘을 중소상인들의 생계를 위협하는 데 쓰지 말라”면서 “정부와 통신사의 골목상권 영세 판매점의 생존권을 보장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관련 당국은 이같은 목소리에 대해 적극 개입이 어려운 상황이다. 또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완전자급제 도입과 관련해서도 난색을 표했다.

익명을 원한 방송통신위원회 관계자는 “방통위는 사전 규제기관이 아닌 사후 규제기관”이라며 “현재 쿠팡의 할인 재원 등에 대해 모니터링을 하고 있지만 적극적인 파악은 아니다”고 전했다.

이어 “단말기 완전자급제 도입은 관련 업계 상황을 고려하면 쉽게 선택하기 힘들다“며 ”여러 방안을 놓고 고민 중“이라고 덧붙였다.


이민섭 기자 minseob0402@ezyeconomy.com

  •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광로 88, 2F(방배동, 부운빌딩)
  • 대표전화 : 02-596-7733
  • 팩스 : 02-522-7166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민이
  • ISSN 2636-0039
  • 제호 : 이지경제
  • 신문사 : 이지뉴스
  •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01237
  • 등록일 : 2010-05-13
  • 발행일 : 2010-05-13
  • 대표이사·발행인 : 이용범
  • 편집인 : 이용범, 최민이
  • 편집국장 : 임흥열
  • 이지경제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이지경제.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ezyeconomy.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