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참사' 코오롱 안팎으로 곪았다
'경주 참사' 코오롱 안팎으로 곪았다
  • 신관식
  • 승인 2014.02.19 11:34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참사 뒤 총수일가 지분 부당이득 일감몰아주기 등 문제 만연

?

[이지경제=신관식 기자] 100여명의 사상자를 낸 경주 마우나오션리조트 붕괴사고로 코오롱이 창사이래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17일 오후 9시경 부산외대 신입생 환영회가 진행 중이던 경주 마우나오션리조트 체육관 지붕이 무너져 학생 9명과 이벤트 회사 직원 1명이 숨지고 100여명이 부상당했다. 


이웅열 회장이 직접 사과에 나섰지만 피해자 보상, 그룹 이미지 손상 등 유·무형의 손실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계속된 실적부진으로 인한 경영악화, 듀폰의 특허소송 1조원 배상 압박에 처한 상황에서 예상치 못했던 문제가 터져 나와 그룹 차원의 연이은 악재로 곤욕을 치르고 있다.


코오롱은 주요 사업 부진으로 지난해 838억원의 적자까지 기록했다. 2012년에도 120억원의 손실을 입었다. 매출액도 4조4,277억원으로 전년에 비해 7.3% 감소했다. 

 

지난 2012년 미국 화학회사 듀폰이 제기한 영업비밀 침해 손해배상 청구소송 1심에서 1조원의 배상금을 부과 받고 항소를 진행해 그 결과를 기다리고 있지만 패소판결이 나면 최대 1조원을 물어줘야 한다. 


참사를 빚은 마우나오션리조트는 코오롱 계열사인 마우나오션개발이 운영하고 있다. 마우나오션개발 지분은 코오롱이 50%를 보유하고 있다. 나머지는 이웅열 코오롱 회장과 이동찬 코오롱 명예회장이 24%, 26%씩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대목에서 이 회장 부자가 보유하고 있는 지분에 대해서 의혹이 제기됐다.


19일 금융투자업계와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마우나오션개발은 지난 2005년 코오롱그룹 계열사인 코오롱글로텍에 합병돼 지분 100%가 코오롱에 넘어갔다. 지난 2007년 6월부터 마우나오션개발의 지분 이동이 본격적으로 되는 과정에 25.57%(76만7,045주)가 이동찬 코오롱그룹 명예회장에게, 21.78%(65만3,410주)가 이웅열 코오롱 회장에게 넘어갔다. 당시 1주당 5,280원의 처분단가인 142만455주(47.35%)를 약 75억원에 취득했다.


이후 코오롱그룹이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되면서 공정거래법상 손자회사 행위제한 규정에 의해 지난 2012년 1월 코오롱글로텍은 보유하고 있던 지분 52.65% 가운데 50.00%(150만주)를 1주당 8,713원에 지주회사인 ㈜코오롱에 넘겼다. 총 처분가격은 약 130억7,000만원이다. 


코오롱글로텍이 마우나오션개발의 지분을 ㈜코오롱에 처분할 때 5년 전 이동찬 명예회장과 이웅열 회장에게 적용한 단가보다 1.7배 높게 적용해 처분해 오너 부자와 계열사인 코오롱글로텍에 부당한 이득을 줬을 가능성이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김익상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이 기간에 마우나오션개발의 순자산가치는 거의 변화가 없음에도 매각 단가가 훨씬 높았다"면서 "밸류에이션(평가가치)상에 문제가 있는 거래였다"라고 판단했다.


또 과도한 내부 일감몰아주기를 통한 총수의 사익편취 행위도 제기됐다.


공시에 따르면 마우나오션개발의 계열사 매출 비중은 지난 2008∼2011년까지 30%대에서 2012년에는 43%까지 높아졌고, 계약도 대부분 수의계약으로 경쟁을 통한 공개입찰 과정을 거치지 않은 것이었다. 


실제로 마우나오션개발은 지난해 10월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총수일가 사익편취규제 적용대상 기업에 포함된 바 있는데, 전문가들은 총수일가 지분율과 내부거래 비중이 모두 높아 일감 몰아주기를 통한 부의 이전 등 총수일가의 사익추구 행위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웅열 회장은 울산 21세기병원 빈소를 찾아 "여러분이 겪으시는 고통을 제가 같이 나눠야 한다. 뭐든지 저희가 할 수 있는 것은 다하겠다"고 밝혔지만, 정작 사고 원인과 보험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고 대답했다.


이에 대해 유가족들은 "부하 직원들을 데리고 왔다가 그냥 가는 것은 언론플레이로밖에 비치지 않는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경주 참사의 1차 원인이 폭설로 인한 재해라지만 건물을 지을때 설계대로 짓지 않아 생긴 인재였다는 비난이 제기되면서 어떤 경우라도 코오롱의 책임은 무거울 수 밖에 없다. 



신관식 shin@ezyeconomy.com

  •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광로 88, 2F(방배동, 부운빌딩)
  • 대표전화 : 02-596-7733
  • 팩스 : 02-522-7166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민이
  • ISSN 2636-0039
  • 제호 : 이지경제
  • 신문사 : 이지뉴스
  •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01237
  • 등록일 : 2010-05-13
  • 발행일 : 2010-05-13
  • 대표이사·발행인 : 이용범
  • 편집인 : 이용범, 최민이
  • 편집국장 : 김성수
  • 이지경제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이지경제.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ezyeconomy.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