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반성장' 사회적책임 외면한 LG MRO사업
'동반성장' 사회적책임 외면한 LG MRO사업
  • 윤병효 기자
  • 승인 2014.09.03 15:58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년새 매출 6천억 늘어, 삼성의 사업철수와 비교돼
▲ LG 서브원

[이지경제=윤병효 기자] 대‧중소기업간 동반성장을 위해 삼성, SK 등 대부분의 대기업들이 MRO사업을 축소하거나 아예 철수하는 등 사회적 책임에 노력하고 있으나 유독 LG만 MRO사업을 오히려 확장하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LG그룹의 MRO(소모성자재 구매대행) 업체인 서브원의 내부거래 업체 수는 2010년 39개에서 2013년 43개로 4개 계열사가 증가했다. 2011년 동반성장위원회가 출범하면서 대기업의 MRO사업을 자제시켰지만 LG는 오히려 규모를 늘린 셈이다.

이 기간 서브원의 매출액은 3조8,500억원에서 4조4,400억원으로 6,000억원 가까이 증가했다.

서브원의 매출 증가는 대부분 MRO사업 규모가 커진 영향이 크다.

서브원의 MRO사업은 2010년 2조5,314억원에서 2013년 3조2,668억원으로 증가했으며, 매출 비중도 65%에서 74%로 증가했다. 

대기업의 MRO사업은 각 계열사가 각자 구매하던 소모성자재를 MRO업체가 일괄적으로 대행 구매해 주는 것으로 사실상 중간유통 단계가 하나 더 늘어나는 것이다.

유통업계에 따르면 MRO를 통해 납품하게 되면 대략 10~15% 가량의 납품단가가 하락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서브원의 MRO사업 매출증가는 그 만큼 납품업체들의 마진이 줄었다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대기업의 사회적책임 측면에서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서브원은 ㈜LG가 100% 자본 출자한 회사로, 대부분의 수익은 LG로 귀속된다.

결국 LG가 각 계열사로 소모성자재를 납품하는 중소업체들의 납품단가를 떨어뜨려 그 만큼 수익을 취하고 있다는 논란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10여년 전부터 대기업 MRO업체들이 생겨나면서 납품단가를 후려치는 ‘갑질’이 사회적 논란이 되자 정부는 이를 막고자 2010년 12월 동반성장위원회까지 출범시켰지만 이후로도 LG는 아랑곳하지 않고 MRO사업을 확대했다. 

LG그룹과는 달리 다른 대기업 MRO업체들은 2011년 이후로 사업을 축소하거나 아예 철수해 LG와 대조를 이루고 있다.

SK그룹의 MRO코리아는 사명을 행복나래로 바꾸고 사회적기업 인증을 받았고, 포스코의 엔투비는 2013년 기준 매출이익률을 0.2%로 크게 줄이는 등 사회적 책임에 노력하고 있다. 또한 삼성그룹은 아예 MRO업체인 아이마켓코리아를 매각했으며, 현대자동차그룹은 MRO사업에 진출하지 않았다.

이 같은 대기업들의 움직임은 2011년 11월 동반성장위원회가 제정한 MRO 가이드라인을 뛰어넘는 적극적인 조치라서 사회적으로 많은 환영을 받은 바 있다.

이에 반해 LG그룹은 MRO 가이드라인 안에서 사업을 하고 있기 때문에 전혀 문제될 게 없다는 보수적인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서브원 관계자는 “미국, 일본의 MRO업체가 세계로 진출하고 있는 상황에서 LG도 MRO사업을 영위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라며 “가이드라인에 따른 계열사와 업체하고만 거래를 하고 있기 때문에 문제될 게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하지만 서브원은 이미 2012년에 MRO가이드라인을 어겨 동반위로부터 시정조치 명령을 받은 바 있다.

서브원 관계자는 이어 “최근 중국 MRO사업에 진출하는 등 해외 사업을 늘리고 있어 국내 비중은 낮아질 것”이라며 “해외 진출 시 국내 납품업체들과 함께 진출하고 있기 때문에 납품업체들한테도 도움을 주고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중소 납품업체와의 해외진출 규모에 대해서는 함구했다.

이 같은 LG 서브원의 입장은 MRO사업에 대한 도덕적, 사회적 논란에 대해서는 신경쓰지 않겠다는 것으로 해석돼, LG가 재계 서열 5위 안에 꼽히는 대기업의 처사로는 맞지 않다는 지적이다. 

한편 MRO 가이드라인은 내부거래 30% 이상인 대기업 MRO업체에 대해 그룹의 상호출자제한기업, 계열사, 매출규모 3,000억원 이상인 중견기업하고만 거래를 할 수 있게 했다.


윤병효 기자 ybh@ezyeconomy.com

  •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광로 88, 2F(방배동, 부운빌딩)
  • 대표전화 : 02-596-7733
  • 팩스 : 02-522-7166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민이
  • ISSN 2636-0039
  • 제호 : 이지경제
  • 신문사 : 이지뉴스
  •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01237
  • 등록일 : 2010-05-13
  • 발행일 : 2010-05-13
  • 대표이사·발행인 : 이용범
  • 편집인 : 이용범, 최민이
  • 편집국장 : 임흥열
  • 이지경제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이지경제.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ezyeconomy.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