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세 시대] 은퇴가구, 2037년 720만호 육박…10명 중 8명, 국민연금이 유일한 대비책
[100세 시대] 은퇴가구, 2037년 720만호 육박…10명 중 8명, 국민연금이 유일한 대비책
  • 김주경 기자
  • 승인 2019.03.18 08:2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이지경제] 김주경 기자 = 오는 2037년 은퇴가구수가 700만 세대가 넘을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노후 대비 안전망 구축이 시급하다는 진단이다. 

18일 한국보험개발원 ‘2018 KIDI 은퇴시장 리포트’에 따르면 2037년 은퇴가구수는 약 727만세대에 육박할 것이라고 분석이다.  

특히 ‘베이비부머’로 일컫는 50대의 은퇴가 본격화되면 노후 가구 수도 늘어날 수밖에 없다. 

한국보험개발원 분석에 따르면 이들 4050세대의 노후 대비책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들 세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0명 중 6명이 은퇴한 이후에도 자녀 부양을 책임져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50세대의 은퇴 후 자녀 1인당 교육비 평균 부담액은 7258만원, 결혼비용은 평균 1억3952만원에 달한다. 은퇴 후에도 자녀 부양을 책임져야 하기 때문에 정작 자신의 노후를 위한 준비는 쉽지 않다. 

보험개발원 설문조사에 응한 4050세대의 은퇴 후 최소생활비 예상 금액은 부부 기준 월 265만원, 개인 기준으로는 월 158만원이다. 이보다 나은 노후를 위해서는 부부는 월 327만원, 개인은 월 194만원이 필요한 것으로 집계됐다. 응답자들은 은퇴 후 소득으로 은퇴 전 소득의 64.3%를 바라지만 실제로 은퇴 후 소득은 48.1%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노후 대책도 국민연금 등 의존도가 너무 높다. 4050세대 10명 중 8명(79.2%)은 국민연금‧공무원연금 등 공적연금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고 답했다. 남성의 71.7%, 여성의 57.4%가 선택한 노후 준비대책은 국민연금이 유일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국민연금만으로는 노후생활 자금을 충당하기 힘들다. 월평균 소득이 227만원인 가입자 기준으로 국민연금에 20년 가입하면 월 47만원, 30년이면 70만원을 받는다. 국민연금만으로는 월 100만원의 소득도 안 된다.  

이에 보험개발원은 추가 소득 확보가 중요하다는 진단이다. 보험개발원은 보고서를 통해 “적정 노후생활을 위해서는 공적연금 외에 사적연금 등을 통한 노후소득 추가 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4050세대 가구의 총 자산은 약 4073조원 규모다. 우리나라 전체 가구 자산의 약 54.8%비중을 차지한다. 

반면 부채는 824조원으로 전체 부채의 약 60.3%에 육박한다. 4050세대의 가구당 평균 소득은 연간 6256만원(가처분소득 5079만원), 평균 총지출은 연간 4263만원으로 나타났다. 소비지출은 3091만원으로 전체 지출대비 72.5%를 차지했다.  


김주경 기자 ksy055@ezyeconomy.com

  •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광로 88, 2F(방배동, 부운빌딩)
  • 대표전화 : 02-596-7733
  • 팩스 : 02-522-7166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민이
  • ISSN 2636-0039
  • 제호 : 이지경제
  • 신문사 : 이지뉴스
  •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01237
  • 등록일 : 2010-05-13
  • 발행일 : 2010-05-13
  • 대표이사·발행인 : 이용범
  • 편집인 : 이용범, 최민이
  • 편집국장 : 임흥열
  • 이지경제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이지경제.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ezyeconomy.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