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 돋보기] 다단계가 사회 악? 통계로 본 오해와 진실…소비자, ‘통신판매‧전자상거래’에 뿔났다
[이지 돋보기] 다단계가 사회 악? 통계로 본 오해와 진실…소비자, ‘통신판매‧전자상거래’에 뿔났다
  • 김보람 기자
  • 승인 2020.02.03 06:4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지경제] 김보람 기자 = 희대의 사기극 주수도의 제이유네트워크와 건강 매트를 앞세워 대학생 합숙 논란을 일으켰던 에스엠까지.

직접판매 즉, 다단계는 사회악으로까지 불리며 유통업의 이단아로 치부됐다. 이후 암웨이와 뉴스킨, 허벌라이프 등 외국계와 애터미 등 국내 업체가 지속 성장세를 구가하며 시장이 안정기에 진입했다는 평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피라미드로 치부하며 소비자 불만이 높다는 시선이 팽배하다.

통계를 살펴보면 오해의 민낯이 여실히 드러난다. 유통채널 중 소비자 불만이 가장 높은 업종은 일반판매(백화점‧대형마트 등)부문이다. 또 불만이 폭증하는 업종은 통신판매와 전자상거래(소셜커머스 등)다.

아이러니하게도 다단계는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의 규모가 상대적으로 적고, 종사자(회원 및 소비자)가 많지 않다는 점에서 상담 건수가 적을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올 수 있다. 그러나 다단계가 매년 성장세를 구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상담 건수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는 점을 볼 때 성숙기에 접어들었다는 것이 중론이다.

그래프=김보람 기자
그래프=김보람 기자

3일 이지경제가 한국소비자원의 최근 5년(2015~2019)간 ‘소비자 빅데이터 트렌드’를 분석한 결과, 총 390만7821건의 소비자 상담이 접수됐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5년(81만6201건) ▲2016년(77만9335건) ▲2017년(79만5883건) ▲2018년(79만2445건) ▲지난해(72만3957건) 등으로 매년 감소세다.

판매채널별 소비자 상담 비중은 ▲일반판매(57.74%) ▲통신판매(23.67%) ▲방문판매(4.20%) ▲전화권유판매(2.67%) ▲TV홈쇼핑(1.62%) ▲기타통신판매(1.55%) ▲다단계판매(0.18%) ▲ 노상판매(0.14%) 순으로 집계됐다.

대표적으로 일반판매 소비자 상담은 ▲2015년 50만9096건에서 ▲지난해 38만5046건으로 24.36% 줄었다.

TV홈쇼핑 역시 같은 기간 2만8929건에서 1만5365건으로 46.91% 감소했다.

방문판매와 다단계도 ▲2015년 3만7925건, 1763건에서 ▲2019년 3만129건, 1280건으로 각각 20.55%, 27.39% 줄었다.

반면 통신판매와 전자상거래는 ▲2015년 15만8404건, 11만3512건에서 ▲지난해 21만6200건, 18만1970건으로 각각 36.48%, 60.30% 급증했다.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개선

통계가 말해주듯 다단계에 대한 인식은 상당부분 개선됐다. 또 시장 자체 정화시스템이 구축되면서 건전발전이 이뤄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다단계의 이미지 개선은 상품 경쟁력에서 비롯됐다. 초창기 업체들은 질 낮은 제품에 100배가 넘는 가격을 붙여, 폭리를 취했다. ‘돈 넣고 돈 먹기’, ‘사람 장사’라는 말이 나온 이유다.

이제는 외국계와 국내 유수 업체가 자리를 잡고, 경쟁력 있는 상품을 내놓으며 신뢰를 향상시키고 있다. 암웨이 치약과 애터미와 유사나의 건강식품, 뉴스킨과 시크릿의 화장품 등이 대표적이다. 다단계 사업을 하지 않으면서도 이들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가 상당한 것도 상품성에 만족하기 때문이다.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마련된 것도 주효했다. 방문판매법 개정을 통해 2002년 12월 도입된 공제조합제도가 바로 그것이다.

직접판매공제조합과 한국특수판매공제조합에 가입(공제계약)한 업체만이 관련 사업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해 업체 난립을 최소화했다. 또 회원사의 공제금 납부를 통해 소비자 피해 보상에 나서고 있다.

한경희 직접판매공제조합 소비자권익보호센터 센터장은 “다단계에 대한 불만과 피해는 일차적으로 기업이 소비자 상담, 보상 및 반품을 진행한다”면서 “양 조합은 영업부진, 경영여건 악화로 인한 공제계약 해지의 경우, 대금 환금 여력이 없는 기업을 대신해 기업이 설정한 담보금으로 반품 및 소비자 피해를 보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피해 보상도 2017년 745건에서 지난해 21건 등 점차 줄어들고 있다”면서 “소비자 피해뿐만 아니라 판매원 구제 등 투명한 시장 정착을 위해 다양한 교육과 신고포상제도 등의 제도를 통해 건전한 유통경제에 발맞춰나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보람 기자 qhfka7187@ezyeconomy.com


  •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광로 88, 2F(방배동, 부운빌딩)
  • 대표전화 : 02-596-7733
  • 팩스 : 02-522-7166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민이
  • ISSN 2636-0039
  • 제호 : 이지경제
  • 신문사 : 이지뉴스
  •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01237
  • 등록일 : 2010-05-13
  • 발행일 : 2010-05-13
  • 대표이사·발행인 : 이용범
  • 편집인 : 이용범, 최민이
  • 편집국장 : 임흥열
  • 이지경제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이지경제.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ezyeconomy.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