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건전성 관리 '비상'…올해 2곳 신용등급 소멸
저축은행, 건전성 관리 '비상'…올해 2곳 신용등급 소멸
  • 최희우 기자
  • 승인 2023.12.14 06: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 3분기 저축은행 연체율 6.15%…지난 분기 대비↑
고금리 장기화로 인한 실적악화 및 부동산PF 부실 영향
은행권 경쟁 촉진을 위해 올 하반기부터 잔액 기준 예대금리차가 추가로 공시된다. 사진=이지경제<br>
사진=이지경제

[이지경제=최희우 기자] 저축은행 건전성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여기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 우려는 업황의 하방 압력을 부추기면서 저축은행의 신용등급 방향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13일 NICE신용평가에 따르면 올해 국내 신평사 3곳(NICE신용평가·한국기업평가·한국신용평가)으로부터 신용등급이 소멸된 저축은행은 2곳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국내 신평사 3곳에서 신용등급을 받는 저축은행은 30곳으로 줄었다.

이들 30곳 가운데 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받은 저축은행은 8곳(키움, OK, 웰컴, 키움예스, 바로, 페퍼, OSB, 더케이)으로 나타났다.

신용등급은 장기신용등급에 부여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6개월부터 2년 내 방향성을 보여준다. 등급 전망이 '부정적'이라는 것은 중기적으로 등급 하향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다.

저축은행 건전성 지표 중 하나인 연체율은 상승했다. 79개 저축은행의 올해 3분기 연체율은 6.15%로 지난 2분기 5.33% 대비 0.82%포인트 올랐다. 기업 대출 연체율은 2분기 5.76%에서 3분기 7.09%로 1.33%포인트 상승했고 같은 기간 가계대출 연체율은 5.12%에서 5.40%로 0.28%포인트 올랐다.

고정이하여신비율도 전 분기보다 0.79%포인트 상승한 6.40%를 기록했다. 다만 BIS비율은 14.14%를 기록하며 전분기(14.15%)와 유사한 수준을 나타냈다. 

앞서 한국기업평가에서 분석한 자기자본 대비 본 PF 익스포저(위험노출액) 비중은 저축은행 80%, 캐피탈 64%, 증권 22% 등 순으로 나타났다. 브릿지론의 경우 저축은행 128%, 캐피탈 29%, 증권 9% 순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자산규모 상위 5사의 부동산PF 연체액과 연체율은 올해 3·4분기 말 ▲SBI저축은행 68억원, 6.21% ▲OK저축은행 935억원, 9.07% ▲한국투자저축은행 576억원, 6.70% ▲웰컴저축은행 257억원, 4.42% ▲페퍼저축은행 123억원, 4.93% 등이다.

전문가들은 저축은행의 실적 악화가 은행권과의 수신 금리 인상 경쟁이 이어지면서 이자 비용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또한 고금리 장기화가 예상되는 만큼 추가 등급 강등 사례가 나올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태환 대신증권 연구원은 "올해 하반기 들어 분양·착공이 감소돼 브릿지론의 본 PF 전환율이 크게 낮아지고 만기 연장 사례가 증가, 부동산 PF 롤오버 리스크가 재부각되고 있다"며 "내년에도 미 기준금리 인하 시점은 연말로 예상돼 의미 있는 업황 개선을 기대하기 어렵고 부동산 PF 리스크도 잔존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시중은행과 달리 저축은행은 정기예금과 적금 등 수신으로만 자금을 조달해야 된다. 부동산 업황 악화에 연체율이 상승하기는 했지만 아직까지 대비 가능한 수준"이라며 "연체율 추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 리스크를 방지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러한 우려에 금융당국도 저축은행 건전성 관리를 위한 현장점검에 착수했다. 금융감독원은 대출과 연체 채권 규모가 큰 대형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채권 관리의 적절성 여부와 함께 이에 대응한 건전성 관리를 적정 수준에서 하고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들여다볼 예정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연체 채권 규모가 큰 만큼 대형사를 중심으로 관리하면 업계 전반적으로 건전성이 개선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최희우 기자 news@ezyeconomy.com


  •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광로 88, 2F(방배동, 부운빌딩)
  • 대표전화 : 02-596-7733
  • 팩스 : 02-522-7166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민이
  • ISSN 2636-0039
  • 제호 : 이지경제
  • 신문사 : 이지뉴스
  •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01237
  • 등록일 : 2010-05-13
  • 발행일 : 2010-05-13
  • 대표이사·발행인 : 이용범
  • 편집인 : 이용범, 최민이
  • 편집국장 : 임흥열
  • 이지경제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이지경제.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ezyeconomy.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