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 ‘돈잔치’ 논란 속 전년대비 성과급 줄였다
시중은행, ‘돈잔치’ 논란 속 전년대비 성과급 줄였다
  • 최희우 기자
  • 승인 2024.03.19 06:0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대 은행, 임금 인상률·성과급 전년대비 감소
결혼·출산지원금 등 일부 복리후생 강화·보완
서울 시내에 은행 ATM 기계가 나란히 설치된 모습. 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이지경제=최희우 기자] 시중은행이 역대급 실적에도 임금인상률과 성과급 규모를 지난해보다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상생금융 압박과 '돈잔치' 비판 여론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축소한 것도 200%대에 달해 논란을 피하기는 어렵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 임금·단체협약(임단협)이 완료한 것으로 알려졌다. 임단협 결과 올해 임금인상률을 일반직 기준 2.0%로 결정됐다.

지난해 3.0%에서 1.0%포인트(p) 낮아진 수준이다. 지난해 평균 300% 이상 지급된 경영 성과급도 올해는 200%대 수준으로 지급할 예정이다.

이는 한국노총 산하 산별노조인 금융노조가 일찌감치 사측과 협상을 일괄 타결한 뒤 각 은행 지부에 일종의 가이드라인을 내린 결과로 전해졌다.

먼저 KB국민은행은 지난해 경영실적을 토대로 올해 임금인상률 2.0%, 성과급 규모를 기준임금의 230%로 결정했다. 지난해 임금인상률 3.0%, 기준임금의 280%에 더해 340만원을 지급했던 성과급과 비교하면 상당 규모 축소된 셈이다.

신한은행은 임단협 결과 임금인상율 일반직 2.0%, RS직 2.5%, 사무직군 3.0%으로, 성과급은 월 기본급의 281%(현금 230% 우리사주 51%)로 결정했다. 지난해 임금인상율(일반직 3.0%, RS직, 사무직군 4.0%)과 월 기본급의 361%(현금 300% 우리사주 61%)였던 성과급과 비교하면 마찬가지로 줄어든 수준이다.

하나은행은 올해 일반직 임금인상률 2.0%, 이익연동 특별성과급 기본급 약 280%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또 저출산 위기 극복을 위해 노사공동 TF(태스크포스)를 설치하고 출산경조금을 상향하고 미혼직원의 결혼장려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만 35세 이상 미혼직원에게는 결혼장려금 100만원을 지급하고, 출산경조금은 ▲첫째 80만원→100만원 ▲둘째 80만원→200만원 ▲셋째 150만원→300만원 ▲넷째 200만원→400만원 등으로 상향했다.

다만 업계 내에선 2023년 성과급은 2024년 4월에 지급예정이며 실적 목표대비 하회할 것으로 예상돼 지난해보다 낮은 180%대로 예상하고 있다. 지난해 임금인상률은 3.0%, 성과급은 292.6%이었다.

NH농협은행은 올해 임금인상률 2.0%, 성과급은 통상임금 200%와 현금 300만원으로 결정했다. 임금인상률 3.0%, 통상임금 400%와 현금 200만원을 지급했던 지난해와 비교하면 이도 줄어든 수준이다.

지난해 은행권은 역대급 실적을 거둬들였다.

지난해 3분기까지 5대 은행의 누적 순익은 약 11조3282억원으로 전년 동기(약 10조759억원)보다 12.4% 증가했다. 이자수익에서 이자비용을 뺀 이자이익은 약 28조6920억원으로 역시 전년 동기(약 26조3804억원)보다 8.8% 늘었다.

이 같은 역대급 실적에도 은행에 대한 비판적 여론과 정부의 요구를 의식해 성과급을 줄인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은행 자체적으로 각종 복리후생을 강화해 일부 보완했다. 

국민은행은 우리사주의 경우 지급 시기 등을 우리사주조합과 협의한 후에 5% 범위 내에서 지급할 예정이며, 출산 경조금을 증액하고 미취학 자녀 교육비도 월 2~5만원씩 인상했다. 

우리은행은 사원연금제도의 지원금을 기존 10만원에서 20만원으로 결정했다. 가족친화적 근무환경 조성과 저출산 극복을 위해 육아퇴직제도, 가족돌봄 근무시간 단축제도를 도입했다.

신한은행은 우리사주 의무 매입을 폐지했고, 원격지 발령 직원에게 교통비를 지원한다. 농협은행은 장기 근속자 대상 안식 휴가를 확대하고 가족 돌봄 근무 시간 단축 제도와 '반의 반차' 휴가를 신설했다.

하지만 아직도 은행 직원들의 급여와 복리후생비가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는 의견과 지속적으로 은행만 집중해서 지적하는 것이 부담스럽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최근 금융당국에서는 장기적인 고금리 상황에 이자 부담에 허덕이는 서민들에 비해 은행은 이자 장사로 쉽게 돈을 번다는 여론을 인식해 은행의 무분별한 성과급 지출을 자제해달라고 요구한 바 있다.   

지난달 23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손실 인식을 회피하고 남는 재원을 배당·성과급으로 사용하는 금융사에 엄중한 책임을 묻겠다”고 경고했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다른 금융권에 비해 은행이 집중적으로 비판받는 상황이 부담스럽게 느껴지기도 한다”며 “정부의 압박과 비판 여론으로 이미 지난해 상반기 8000억원, 하반기 2조원 규모의 지원방안을 내놓았는데 계속해서 리스크를 떠안으라고 하는건 과도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주로 은행에서 지원책이 구성되다 보니 경영 건전성이 우려되는 것도 사실"이라며 "기업의 자율성도 인정해줄 필요가 있다"라고 덧붙였다. 


최희우 기자 news@ezyeconomy.com

관련기사

  •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광로 88, 2F(방배동, 부운빌딩)
  • 대표전화 : 02-596-7733
  • 팩스 : 02-522-7166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민이
  • ISSN 2636-0039
  • 제호 : 이지경제
  • 신문사 : 이지뉴스
  •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01237
  • 등록일 : 2010-05-13
  • 발행일 : 2010-05-13
  • 대표이사·발행인 : 이용범
  • 편집인 : 이용범, 최민이
  • 편집국장 : 임흥열
  • 이지경제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이지경제.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ezyeconomy.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