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 고성장 속 대주주 사법 리스크 '발목'
카카오뱅크, 고성장 속 대주주 사법 리스크 '발목'
  • 최희우 기자
  • 승인 2023.11.17 06: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 3분기 역대급 실적 거둬, 전년대비 38% 성장
김 전 의장 등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 검찰 송치
사진=카카오뱅크
사진=카카오뱅크

[이지경제=최희우 기자] 카카오뱅크가 3분기 역대급 실적을 거뒀지만 대주주 카카오를 둘러싼 사법 리스크가 발목을 잡는 모양새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카카오뱅크는 올해 3분기까지 2793억원의 순익을 냈다. 지난해(2025억원)와 비교해 37.88% 오른 실적으로 3분기에만 954억원의 순이익을 달성했다. 카카오뱅크는 수익 관련 지표도 개선되고 있다. 

자기자본이익률(ROE)도 6.34%로 작년 말(4.69%)에 비해 1.65%포인트 올랐다. ROE가 상승했다는 건 은행이 자본으로 이익을 더 냈다는 의미다. 또 총자산에서 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인 총자산이익률(ROA)도 같은 기간 0.11%포인트 오른 0.78%로 나타났다. 

중·저신용자 대출도 증가했다. 카카오뱅크의 올 3분기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은 28.7%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3분기(23.2%)와 견주면 약 5.5%포인트 증가했다. 

앞서 정부는 인터넷은행 중금리 대출 활성화를 위해 은행별 공급 목표치를 설정한 바 있다. 카카오뱅크의 올해 말 목표치는 30%로, 올 3분기 기준 1.3%포인트(p)가 남았다. 올 3분기 중·저신용자 대출 잔액은 4조1000억원으로 전년 동기(3조원) 대비 1조1000억원 늘었다.

건전성 지표도 눈여겨볼만하다. 3분기 카카오뱅크의 총여신은 37조1000억원으로 직전 분기(33조9000억원)보다 3조2000억원 불어났다. 반면 연체율은 감소했다. 3분기 연체율은 0.49%로 1분기(0.58%), 2분기(0.52%)보다 떨어졌다. 

총여신의 성장세가 컸던 만큼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41%를 기록하며 1분기(0.43%), 2분기(0.42%)에 이어 소폭 하락했다. 통상 부실채권으로 분류하는 고정이하여신(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 규모는 이 시기에 1505억원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같은 호실적에도 카카오뱅크를 둘러싼 사법 리스크에 경영권에 비상이 걸렸다. 카카오뱅크의 대주주인 카카오가 SM엔터테인먼트 인수하는 과정에서 시세를 조종했다는 의혹으로 검찰 조사를 받고 있는 탓이다. 

양벌규정에 따라 카카오법인도 불구속기소됐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배 대표는 SM엔터 주가를 하이브의 공개매수가(12만원)보다 높게 설정·고정할 목적으로 시세 조종한 혐의를 받는다.

업계 내에서는 시세조종 의혹과 관련해 카카오 법인 자체가 재판에 넘겨졌기 때문에 향후 성장성에 물음표를 던지고 있다. 

카카오 법인이 벌금형 이상의 형사처벌을 받게 되면 은행 대주주 지위를 박탈당하고 카카오뱅크 지분 27.17% 중 10%만 남긴 뒤 모두 매각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일각에서는 경영쇄신이 얼마나 원활하게 이뤄질지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면서 시장 평가도 부정적인 분위기다.

신한투자증권은 카카오의 목표주가를 '4만5000원'으로 설정한 보고서를 냈다. 투자의견은 단기매수로 제시했지만, 목표주가가 전날 종가(4만5650원)보다 낮아 시장에서는 실질적인 '매도'로 해석했다. 

강석오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아직 향후 고성장을 이뤄낼 수 있는 신규 사업부문이 불확실하고 사법 리스크도 해소되지 않은 만큼 지금의 중립 의견을 유지한다"고 설명했다.

강 연구원은 "비용 측면에서 볼 때 구조조정과 보수적 채용 기조로 인건비는 전분기와 유사했고 마케팅 비용도 에스엠을 빼면 통제되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이홍재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최근 카카오뱅크의 주가가 부진한 이유는 카카오 대주주와 주요 임원의 사법 리스크로 대주주 적격성에 대한 논란이 커졌기 때문"이라며 "카카오 법인의 유죄가 확정될 경우 카카오뱅크 지분 중 상당 부분에 대한 강제 처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창영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내년 광고 및 주요 사업 부문 성장이 이어지며 실적 개선이 예상된다"면서도 "카카오뱅크 지분 매각, 에스엠 인수 무효 등 관련 불확실성과 정부 규제에 따른 플랫폼 수수료 인하 압력은 여전히 불확실한 요인으로 남아있다"고 분석했다. 


최희우 기자 news@ezyeconomy.com


  •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광로 88, 2F(방배동, 부운빌딩)
  • 대표전화 : 02-596-7733
  • 팩스 : 02-522-7166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민이
  • ISSN 2636-0039
  • 제호 : 이지경제
  • 신문사 : 이지뉴스
  •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01237
  • 등록일 : 2010-05-13
  • 발행일 : 2010-05-13
  • 대표이사·발행인 : 이용범
  • 편집인 : 이용범, 최민이
  • 편집국장 : 임흥열
  • 이지경제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이지경제.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ezyeconomy.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