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존심 굽히지 않는 코레일-롯데관광, 파산 위기 자초
자존심 굽히지 않는 코레일-롯데관광, 파산 위기 자초
  • 서영욱
  • 승인 2012.09.26 10:14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용산역세권개발 공사 중단, 연말까지 자금 조달 못하면 ‘파산 위기’



[이지경제=서영욱 기자] 극심한 자금 압박을 받고 있는 용산역세권개발사업이 코레일과 롯데관광개발의 끝 모를 다툼으로 파산위기까지 몰렸다. 업계에서는 두 기관의 감정의 골이 깊어 사업 정상화까지는 긴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한 기관이 빠져야 사업이 진행될 수 있을 것이란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 시행사인 드림허브는 지난해 10월 기공식을 열고 랜드마크 빌딩인 ‘트리플원’의 기반공사(토지오염 정화 공사)를 시작했지만 시공사인 삼성물산은 수개월째 공사비 271억원을 받지 못해 이달 초 공사를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뿐만 아니라 세계적 건축가와 건축회사에 의뢰했던 기본설계비용 217억원과 국내 설계사무소에 줘야 하는 496억원 등 719억원도 지급하지 못한 상태다. 최근 외국 건축회사들은 다음달까지 비용을 지급하지 않으면 소송을 제기할 것이라고 으름장을 놓은 상태다.

 

설상가상으로 드림허브의 자본금은 당초 1조원에서 현재 436억원으로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연내에 내야할 돈이 세금, 금융비용 등 500억원에 이르는데, 그때까지 추가 자금조달에 실패하면 채무불이행(디폴트) 상황에 빠지게 될 것이란 우려도 커지고 있다.

 

당초 계획은 이달까지 기본설계를 마무리하고 내년 상반기 안으로 ‘트리플 원’을 착공하려 했으나 기반공사가 무기한 중단되면서 이마저도 장담할 수 없게 됐다.

 

현재 상황에서 해결의 기미를 찾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업계에서는 내다보고 있다. 드림허브의 1·2대 주주인 코레일(25%)과 롯데관광개발(15.1%)이 자금조달을 위한 전환사채(CB) 발행 방식을 두고 서로 다른 방식을 고집하며 자존심을 굽히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롯데관광은 향후 발주할 건설공사의 시공권을 제공하는 조건으로 외부 건설 투자사들에 CB를 배정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반면 코레일은 시공권을 연계하면 공사비가 올라간다는 이유로 기존 주주사들에게 지분율대로 CB를 배정하는 방식을 주장하고 있다.

 

코레일 관계자는 “시공권을 먼저 매각할 경우 나중에 경쟁 입찰을 통해 시공비 절감이 어려워지고, 이는 수익성 악화 초래로 이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롯데관광개발 측은 “사업협약상 시공계약은 공사 원가에 일정 마진율을 보장하는 ‘코스트+피(cost+fee)’ 방식으로 명시하고 있어 Fee를 시공건설사 선정기준에 포함하면 시공비 상승의 우려가 없다”며 “그런데도 코레일 측이 시공건설사 공모를 통한 CB 발행을 반대하고 있다”고 반박하고 있다.

 

양측은 전체 사업방식을 두고서도 이견차가 큰 상황이다. 롯데관광개발은 기존 통합개발 방식을 고수하고 있는 반면 코레일 측은 단계적 개발을 주장하고 있어 해결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코레일 측은 2대 주주인 롯데관광개발의 사업 주도권을 회수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상황이다. 지난 17일 열린 드림허브 이사회에서도 양측은 CB 발행 의안 합의점을 찾지 못한 채 등을 돌렸다.

 

코레일 측은 “롯데관광개발은 실현 불가능한 사업계획을 고집하고 있다”며 “2차 전환사채(CB) 인수 불참, 수권자본증액 반대 등 일방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어 전체적인 사업 중단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어 “공공기관으로서 롯데관광개발 주도의 사업추진을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며 “이에 코레일은 AMC 지분인수 후 신규 주관사 영입, 신규 주관사와 실현가능한 사업계획 수립을 추진한 후 외부투자자 유치와 금융기관의 투자, 선매각유도를 이끌어 낼 것”이라고 말했다.

 

코레일 측은 롯데광관개발이 개발사업의 최대주주이면서 외부 자본을 한 건도 유치하지 못한 채 시공권을 연계한 전환사채 발행과 외부투자자 유치에만 집중하고 있는 것을 문제 삼고 있다.

 

또 분양매출채권 유동화로 사업비를 조달한다는 롯데관광의 계획에 대해 분양 실패 시 자금조달 어려움이 발생해 사업 중단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서영욱 syu@ezeconomy.com

  •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광로 88, 2F(방배동, 부운빌딩)
  • 대표전화 : 02-596-7733
  • 팩스 : 02-522-7166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민이
  • ISSN 2636-0039
  • 제호 : 이지경제
  • 신문사 : 이지뉴스
  •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01237
  • 등록일 : 2010-05-13
  • 발행일 : 2010-05-13
  • 대표이사·발행인 : 이용범
  • 편집인 : 이용범, 최민이
  • 편집국장 : 임흥열
  • 이지경제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이지경제.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ezyeconomy.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