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수명 종료’ 월성 1호기, 재가동? 폐쇄?
‘설계수명 종료’ 월성 1호기, 재가동? 폐쇄?
  • 서영욱
  • 승인 2012.11.20 10:4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경주 폐쇄 촉구, 캐나다에서도 폐쇄 결정



[이지경제=서영욱 기자] 20일 밤 설계 수명을 다하는 월성원전 1호기의 수명연장을 두고 정부와 지자체·시민단체 간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정부는 경제성을 내세워 계속 가동을 주장하고 있는 반면 지자체와 시민단체들은 안전성을 문제로 폐쇄를 거듭 촉구하고 있다.

 

1983년 4월 상업운전을 시작한 월성 1호기는 지난달 29일 발생한 고장으로 이미 정지된 상태로, 앞으로 10년 간 계속운전 여부에 대한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심사가 진행되고 있지만 결과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특히 원전 가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지자체들마저 원전 반대를 주장하고 나서 정부는 매우 난처한 상황에 빠졌다.

 

월성원전 1호기와 인접한 울산 북구청과 경주시청은 19일 월성원전 1호기 수명연장 반대 성명을 잇달아 발표했다.

 

윤종오 울산 북구청장은 “고리원전 1호기의 수명연장 이후 울산시민은 원전의 작은 고장사고에도 불안해하고 있는데, 월성원전 1호기의 수명까지 연장된다면 시민의 불안감은 극도로 높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경주환경운동연합이 10년간 월성원전의 사고기록을 분석한 결과로는 2002년 이후 총 28건(총 5호기)의 사고 중 1호기가 10건으로 압도적이다.

 

윤 구청장은 “후쿠시마 원전사고 당시 반경 30㎞ 내 피해가 심각했다는 것은 누구나 잘 알고 있는 일”이라며 “월성원전은 북구 주민이 사는 신명동 지경검문소와는 약 6.5㎞, 북구 중심 북구청까지는 17㎞라서 만일의 작은 사고라도 난다면 북구 강동지역은 물론 북구 전체가 위험에 빠질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또 북구 주민의 삶을 책임지는 구청장으로서 돌이킬 수 없는 대규모의 재난으로부터 주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월성원전 1호기의 수명연장을 중단하고 서서히 폐쇄해 달라고 촉구했다.

 

이날 경주시의회도 ‘월성원전 1호기 수명연장 반대, 수명만료 월성원전 1호기 즉각 폐쇄’를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한수원 측은 월성 1호기의 경우 2008년부터 대규모 설비개선공사를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안전성 증진을 위해 설비 교체 67건, 설비 개선 17건, 설비 보강 44건, 후쿠시마 원전 유사사고 방지 37건의 조치를 했고 수소감지기도 내년까지 설치키로 했다.

 

월성원전 이승호 1발전소장은 “월성 1호기 자동정지는 지금까지 총 39회로 1982년부터 1994년까지 정지율은 1호기당 연 2.5회였지만, 1995년부터 올해까지 최근 18년간 정지율은 0.5회(올해 3회 포함)로 운영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했다”고 주장했다.

 

◆ 월성 1호기와 유사한 캐나다 원전 폐쇄 결정

 

‘그린피스 캐나다’의 원자력 분야 전문가인 숀패트릭 스텐실은 19일 한국에서 열린 화상 기자간담회에서 월성 1호기의 수명연장 반대에 동조했다.

 

월성 1호기는 캔두형 원자로로, 저농축우라늄을 연료로 사용하는 가압경수로형 원전과 달리 천연우라늄을 연료로 사용한다. 한때 캐나다의 주력 수출모델이었고 한국에도 원전 23기 중 월성 1호기를 포함한 4기(월성 1~4호기)가 들어와 있다.

 

스텐실에 따르면 캐나다에서도 캔두형 원전들이 높은 유지 비용과 안전성을 문제로 잇달아 폐쇄 결정을 내리고 있다.

 

스텐실은 “캐나다에서 유일하게 수명이 연장된 포인트 르프로 원전의 경우에도 2002년 애초 8000억원의 설비개선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했으나 2005년에는 1조1000억원, 2010년에는 2조5000억원으로 늘어났다”고 말했다.

 

이어 “젠틸리 2호기의 수명연장을 추진하던 하이드로퀘벡은 비용이 4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자 지난달 폐쇄를 결정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캔두형 원전의 안전성이 큰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가압경수로는 원자로에 문제가 생겨서 감속재가 유실되면 핵연료봉이 녹아내리더라도(용융) 핵분열은 멈추게 된다. 하지만 캔두형 원전은 설계 문제로 감속재가 유실되면 핵분열은 오히려 증가한다. 이를 ‘양 반응도’라고 한다.

 

스텐실 팀장은 “1986년 체르노빌 사고도 낮아진 원자로 출력을 무리하게 높이다가 양 반응도가 높아져 원전 제어가 불가능했고 결국 폭발로 이어졌다”면서 “만약 최신 국제안전기준이 엄격하게 적용된다면 캔두형 원자로는 건설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22기의 캔두형 원전을 가동했던 캐나다는 2기가 1984년, 1987년 폐로했고 나머지 20기 중 6기도 2020년까지 추가로 폐로될 예정이다.


서영욱 syu@ezeconomy.com

  •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광로 88, 2F(방배동, 부운빌딩)
  • 대표전화 : 02-596-7733
  • 팩스 : 02-522-7166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민이
  • ISSN 2636-0039
  • 제호 : 이지경제
  • 신문사 : 이지뉴스
  •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01237
  • 등록일 : 2010-05-13
  • 발행일 : 2010-05-13
  • 대표이사·발행인 : 이용범
  • 편집인 : 이용범, 최민이
  • 편집국장 : 임흥열
  • 이지경제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이지경제.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ezyeconomy.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