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 돋보기] 휴대폰 판매점 “테크노마트 때문에 죽겠다”…불법보조금‧리베이트에 발길 ‘뚝’
[이지 돋보기] 휴대폰 판매점 “테크노마트 때문에 죽겠다”…불법보조금‧리베이트에 발길 ‘뚝’
  • 이민섭 기자
  • 승인 2018.06.26 11:5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이민섭 기자
사진=이민섭 기자

[이지경제] 이민섭 기자 = “휴대폰 개통은 하늘에 별 따기. 사진‧연락처 옮기기, 통신료 납부 등 돈 안 되는 서비스만 한다. 이러다 죽겠다.”

휴대폰 판매점 점주들이 토해낸 이구동성 하소연이다. 더욱이 이들은 테크노마트(서울 신도림, 강변)로 대표되는 휴대폰 집단 판매 상가의 불법 보조금 및 리베이트 등 무차별 불법 행위 근절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26일 이지경제가 서울 및 수도권 일대에서 휴대폰 판매점을 운영 중인 점주 10명을 대상으로 실태 조사에 나선 결과, 공통적으로 폐점 위기를 거론하는 등 벼랑 끝에 내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동작구에서 휴대폰 판매점을 운영하는 점주 A씨(남‧50세)는 “우리 매장은 그나마 오피스 상권에 위치해 있어, 입에 풀칠은 하고 있지만 다른 곳은 문을 닫는 경우가 많다”면서 “휴대폰 개통 고객을 위해 충전기, 보조배터리, 휴대폰 케이스 등 각종 액세서리를 준비해놨지만 재고를 소진하지 못해 자리만 차지하고 있다”고 푸념했다.

서울 영등포구와 경기도 의정부에서 휴대폰 판매점을 운영하는 B씨(54세.남)와 C씨(49세.여)도 마찬가지.

B씨는 “휴대폰 개통 및 구매를 위해 매장을 찾는 손님은 극히 드물다”면서 “어르신들은 방문해 서비스 업무를 요구하거나, 젊은 사람들은 신형 스마트폰의 실물만 보고 가버린다”고 토로했다.

C씨는 “생존권에 심각한 압박을 받고 있다”면서 “다른 점주들은 온라인 토론방에서 이동통신 3사의 주 52시간 근무가 본격화되면 개통 시간이 단축돼 더욱 힘들어질 것이라고 걱정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들은 자생력을 키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도 공통적으로 ▲길어진 스마트폰 교체 주기와 ▲통신사 및 제조사의 대리점 출점 ▲휴대폰 집단 판매 상가의 위법 행위에 따른 소비자 쏠림 현상 등을 경쟁력 악화 원인으로 꼽았다.

A씨는 “테크노마트내 휴대폰 집단 판매 상가들이 통신비 추가 할인, 불법보조금, 리베이트 등 불법 행위로 소비자들을 유혹한다”면서 “우리도 집단 판매 상가처럼 할 수 있지만 단통법의 칼날이 두렵다. 집단 판매 상가는 판매량이 많아서 과태료를 어느 정도 해결할 능력이 되지만, 소규모 판매점은 그렇지 않다”고 주장했다.

경쟁

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B씨는 “불과 5년 전 만 해도 신규 휴대폰이 출시되면 사전예약을 위해 찾아오는 소비자들이 100여명에 달했다”면서 “하지만 최신 스마트폰이 디자인 변경과 기능면에서 전작과 차이가 없어지기 시작하면서 소비자들의 교체 주기가 길어져 발길이 끊겼다”고 전했다.

C씨는 “이동통신3사의 대리점과 알뜰폰 매장, 삼성전자 디지털 프라자 등 휴대폰을 판매하는 매장이 늘면서 타격이 커졌다”며 “더욱이 신도림, 강변 등 휴대폰 집단 판매상가가 스마트폰을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성지’로 탈바꿈하면서 소비자 쏠림 현상이 심화됐다”고 피력했다.

통계청과 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 등에 따르면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의 직영점은 늘고 있고, 휴대폰 판매점은 줄고 있다.

유통협회가 조사한 이동통신 3사 직영점은 올 5월 현재 전국에 총 9000여 곳으로 집계됐다. SK텔레콤이 3500곳으로 38.8%의 비중을 차지해 가장 많다. 이어 KT 3000곳(33.3%), LG유플러스 2500곳(27.7%) 순이다.

통계청이 조사한 ‘100대 생활업종 현황’에 따르면 2016년 말 기준 휴대폰 판매점은 총 1만8461곳으로 전년(1만8531곳) 대비 0.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휴대폰 판매점 업계는 시장 질서를 바로 잡기 위해 출점 제한과 불법 행위 근절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A씨는 “동종업계에서 종사하는 사람들과 온라인 커뮤니티, SNS 등에서 이야기를 하다보면 50m도 안 되는 곳에 통신사의 대리점이 입점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편의점 출점 제한 정책과 같은 소상공인 판매점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노충관 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 사무총장은 “신도림과 강변 등에 위치한 휴대폰 집단 판매 상가의 불법 보조금, 리베이트 살포가 점 조직 형태로 온라인에서 광범위하게 활동하며 소비자들을 유혹하고 있다”면서 “방통위에 이같은 사실을 수차례 지적했지만 단속에 신경쓰겠다는 답변만 할 뿐 실질적인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고 성토했다.

이어 “소상공인 점주들을 위해 지난달 대‧중소기업간 통신기기 판매업 상생협약을 체결해 중소‧소상공인 사업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협의했다”면서 “대기업과 협력을 통해 통신기기 판매업의 자생력 확보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직영점? 대리점? 판매점? “복잡하다 복잡해”

 

휴대폰 판매 루트는 크게 직영점과 대리점, 판매점 등으로 구분된다. 직영점은 이동통신 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에서 직접 운영한다. 해당 통신사 개통만 가능하며, 본사 직원이 파견되며 매장의 월세, 인테리어, 전기요금 등은 통신사에서 부담한다.

대리점은 이동통신 3사와 단말기 제조사(삼성, LG전자)와 직접 계약을 맺고 이들로부터 판매 장려금을 지급 받는다. 대리점은 통신3사 중 특정 통신사와 계약을 맺는다. 이에 인테리어 비용과 임대료, 인건비 등은 대리점주 책임이다. 대리점은 휴대폰 1대를 팔 때 마다 받는 판매 장려금과, 대리점에서 개통한 고객이 해당 통신사를 유지할 동안 매달 통신비의 5~7%를 지급받는 관리 수수료가 주 수입원이다. 이밖에도 통신사들의 고객 관련 업무인 요금 수납, 명의 이전 등 서비스 업무를 대항함에 따라 지급되는 업무 대행 수수료가 있다.

휴대폰 판매점(집단 판매 상가 포함)은 이통사 직영점, 대리점과 계약을 체결한다. 판매점은 대리점‧직영점으로부터 판매 장려금을 지급 받으며 대리점별 판매 장려금 규모가 다르기 때문에 여러 대리점의 판매 정책을 확인 후, 가장 좋은 조건을 제시하는 대리점의 단말기를 공급받아 판매한다. 주 수입원은 판매 장려금(휴대폰 1대 팔 때 마다 받는 금액)이 유일하다.

 


이민섭 기자 minseob0402@ezyeconomy.com

  •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광로 88, 2F(방배동, 부운빌딩)
  • 대표전화 : 02-596-7733
  • 팩스 : 02-522-7166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민이
  • ISSN 2636-0039
  • 제호 : 이지경제
  • 신문사 : 이지뉴스
  •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01237
  • 등록일 : 2010-05-13
  • 발행일 : 2010-05-13
  • 대표이사·발행인 : 이용범
  • 편집인 : 이용범, 최민이
  • 편집국장 : 임흥열
  • 이지경제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이지경제.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ezyeconomy.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