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보험사 가계대출 석달만에 7000억원 증가
금감원, 보험사 가계대출 석달만에 7000억원 증가
  • 최희우 기자
  • 승인 2023.09.06 12:3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업대출 잔액 6천억 감소...기업대출 부실채권비율 0.21%p 상승
자료=금감원
보험회사 대출채권 현황. 자료=금감원

[이지경제=최희우 기자] 보험사의 2분기 대출채권 잔액이 전분기 대비 1000억원 늘어난 273조1000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가계대출이 7000억원 증가할 동안 기업대출은 6000억원 감소했다.

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6월말 보험회사 대출채권 현황'을 보면 보험회사 대출채권 잔액은 273조1000억원으로 전분기(273조원)보다 1000억원 증가했다.

가계대출이 보험회사 대출채권 증가세를 이끌었다. 6월말 보험회사 가계대출채권 잔액은 133조7000원으로 전분기 말보다 7000억원 증가했다. 이중 주택담보대출채권 잔액은 51조8000억원으로 전분기와 동일했고 전년 동기(50조9000억원)와 비교해서는 9000억원 늘었다. 

앞서 지난해 5월 교보생명과 KB손해보험이 4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을 내놓고 올 1월에 한화생명, 8월에 삼성화재·삼성생명이 50년 만기 상품을 출시한 것이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증가세를 이유로 '50년 만기 주담대'에 제동을 걸면서 한화생명과 삼성화재, 삼성생명이 판매를 중단한 상황이다. 

'불황형 대출'로 꼽히는 보험계약대출(약관대출) 잔액도 증가세를 이어갔다. 6월말 보험계약대출채권 규모는 68조9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7000억원, 전년 동기 대비 3조2000억원 증가했다.

6월말 보험회사 기업대출 채권 잔액은 139조4000억원으로 전분기 말보다 6000억원 감소했다. 이중 대기업 대출채권은 7000억원 감소하고, 중소기업 대출은 1000억원 늘었다. 6월말 기준 보험회사 대출채권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연체 기준)은 0.30%로 전분기와 동일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46%로 전분기 말보다 0.03%p 증가했고 기업대출 연체율은 0.22%로 전분기말 대비 0.02%p 하락했다.

6월말 보험회사 부실채권비율은 0.43%로 전분기 말보다 0.15%p 상승했다. 가계대출의 부실채권비율은 0.35%로 전분기보다 0.01%p 올랐으며 기업대출의 부실채권비율은 0.47%로 0.21%p 증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리상승 등 경기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 건전성 지표를 계속 모니터링하면서 충분한 대손충당금(준비금 포함) 적립을 통해 손실흡수능력 제고와 부실자산 조기 클린화를 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금융권은 최근까지 은행들이 50년 만기 주담대 상품을 잇따라 내놓으며 1금융권으로 대출 수요가 몰린 영향으로 분석하고 있다. 

금융업계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달 말 가계대출 잔액은 680조8120억원이었다. 지난 7월 말(679조2208억원)보다 1조5912억원 늘어난 것이며 지난 5월부터 4개월 연속 증가세다. 

지난달 가계대출 증가 폭은 2021년 11월(2조3622억원) 이후 1년 9개월 만에 가장 컸다. 가계대출 증가세를 주도하는 은행권 주담대는 지난달에만 2조1122억원 급증했다.

다만 최근 금융당국의 은행권 가계대출 관리 기조와 맞물려 하반기 보험사 등으로 대출 수요가 몰릴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앞서 금융당국이 지난달 50년 만기 주담대에 대한 점검 필요성을 언급한 뒤 일부 은행들은 만 34세 이하 등 연령 제한을 두거나 아예 잠정적 판매 중단 방침을 밝혔다. 

이같은 영향으로 보험권에서도 50년 만기 주담대 상품 판매를 중단했지만 은행권보다 한도가 10% 정도 더 많아 수요자 쏠림 현상이 본격화할 수 있다. 은행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40%로 제한된 반면 보험사는 50%까지 받을 수 있다.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보험사의 40년 만기 상품이 여전히 남아있고 대출 한도가 은행권보다 높다는 이유에서 경쟁력이 크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다른 보험업계 관계자는 "보험약관대출이 작년에 비해 7000억원 증가했지만 가계대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담대 변화가 없었던 점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된다"며 "금융당국이 가계대출을 완화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일때마다 해당 수요가 2금융권으로 몰렸던만큼 앞으로 행보를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희우 기자 news@ezyeconomy.com

관련기사

  •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광로 88, 2F(방배동, 부운빌딩)
  • 대표전화 : 02-596-7733
  • 팩스 : 02-522-7166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민이
  • ISSN 2636-0039
  • 제호 : 이지경제
  • 신문사 : 이지뉴스
  •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01237
  • 등록일 : 2010-05-13
  • 발행일 : 2010-05-13
  • 대표이사·발행인 : 이용범
  • 편집인 : 이용범, 최민이
  • 편집국장 : 임흥열
  • 이지경제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이지경제.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ezyeconomy.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