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지금 떨고 있니?"…국감 소환에 금융지주 회장 초긴장
"나 지금 떨고 있니?"…국감 소환에 금융지주 회장 초긴장
  • 최희우 기자
  • 승인 2023.09.20 06:0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융권, 다음달 12일 금융위부터 시작…은행장 소환 가능성↑
정무위, 국감 화두 '가계대출 이슈 및 금융 사고·내부통제 부실'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왼쪽부터),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 빈대인 BNK금융지주 회장, 김태오 DGB금융지주 회장. 사진= 각 사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왼쪽부터),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 빈대인 BNK금융지주 회장, 김태오 DGB금융지주 회장. 사진= 각 사

[이지경제=최희우 기자] 다음달 국정감사를 앞두고 금융권이 긴장하고 있다. 내부통제가 금융권의 화두로 떠오른 만큼 금융지주사 회장들의 국회 출석이 전망되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정무위원회(정무위)는 오는 21일 전체회의를 열고 국정감사 계획서 채택과 증인 출석, 참고인 확정을 시작으로 다음달 12일 금융위원회, 16일 금융감독원, 23일 주택금융공사‧신용보증기금 등 정부 산하 공공기관, 24일 예금보험공사‧산업은행‧기업은행, 27일인 금융위‧금감원에 대한 종합국감을 진행한다.

올해 국회 정무위 국감은 가계대출이 이슈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1748조9000억원으로 직전 분기보다 10조1000억원 증가했다. 지난 3분기 연속 감소세를 보이다 지난 2분기 다시 증가세로 선회했다.

금융당국은 최근 가계대출 증가세의 주요 원인으로 은행권의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을 지목했다. 만기가 긴 만큼 갚아야 하는 원리금 규모가 줄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우회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가계 대출이 지속해서 증가하는 것과 관련해 50년 만기 주담대가 원인으로 지목됐는데 또 다른 이유는 없는지 살펴볼 예정"이라며 "올해 횡령 등 금융사고가 이어졌던 만큼 내부통제에 따른 질책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내부통제는 금융당국에서도 예의주시하는 이슈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11일 윤한홍 국민의힘 의원을 통해 금융회사의 내부통제 관리의무와 사전감시 역할을 강화하는 내용의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다. 개정안의 핵심은 각 금융사 임원별로 내부통제 책임영역을 사전에 구분한 ‘책무구조도’ 도입이다. 내부통제 전반의 최종 책임자인 대표이사 등에는 총괄적인 내부통제 등 관리의무가 부여된다.

이에 따라 올해 국감에는 금융권 최고경영진의 출석이 불가피할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해 정무위는 KB·신한·하나·우리·NH농협금융지주 회장을 소환했지만, 국제통화기금(IMF) 연차 총회 참석을 이유로 불참했다. 대신 은행장들이 국감에 참석했다. 올해 국감은 IMF 연차 총회 일정과 겹치지 않은 만큼 국감 출석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본점의 부산 이전을 추진하고 있는 산업은행 강석훈 회장 출석도 전망되고 있다. 산은 노조는 최근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이 산업은행 부산 이전이라는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외부 컨설팅 용역까지 조작했다”며 “부산 이전 컨설팅을 전면 백지화하라”고 촉구했다.

또한 금융권의 잇따른 횡령 사고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를 것으로 관측된다. BNK경남은행에서는 1000억원대의 횡령 사건이 발생했다. 한 직원이 7년 동안 회삿돈을 횡령하는 동안 회사에서는 이를 알아채지 못했다. 

KB금융지주에서는 국민은행 직원들이 주식 시장의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130억원에 이르는 부당 이익을 챙겼다. DGB대구은행은 직원 수십명이 고객의 동의 없이 1000여개의 주식 계좌를 개설했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주요 수장들이 바뀐 후 첫 국감인 만큼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며 "예상하는 바와 같이 반복된 금융사고와 내부 통제 부실 문제가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최희우 기자 news@ezyeconomy.com

관련기사

  •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광로 88, 2F(방배동, 부운빌딩)
  • 대표전화 : 02-596-7733
  • 팩스 : 02-522-7166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민이
  • ISSN 2636-0039
  • 제호 : 이지경제
  • 신문사 : 이지뉴스
  •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01237
  • 등록일 : 2010-05-13
  • 발행일 : 2010-05-13
  • 대표이사·발행인 : 이용범
  • 편집인 : 이용범, 최민이
  • 편집국장 : 임흥열
  • 이지경제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이지경제.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ezyeconomy.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