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장 “부동산 PF 금리·수수료, 합리적인지 점검하겠다”
금감원장 “부동산 PF 금리·수수료, 합리적인지 점검하겠다”
  • 정석규 기자
  • 승인 2024.03.21 15:34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동산PF 정상화 추진을 위한 금융권‧건설업계 간담회
건설업계 “정상 사업장마저 금리·수수료 과도하게 높아”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1일 오후 서울 여의도 주택건설회관에서 열린 부동산PF 정상화 추진을 위한 금융권·건설업계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

[이지경제=정석규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21일 “현장검사를 통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금리와 수수료 등이 대출 위험에 상응해 공정과 상식 차원에서 합리적으로 부과되고 있는지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주택건설회관에서 열린 ‘부동산PF 정상화 추진을 위한 금융권‧건설업계 간담회’에서 “건설업계의 금융부담 완화를 위해 노력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는 금융권이 정상화 추진 사업장에 대해서까지 PF 금리 및 수수료를 과도하게 높게 요구하고 있다는 건설업계의 건의에 따른 점검이다.

건설업계는 정상화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사업장에 대해서는 금융권이 PF 자금 공급을 보다 확대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이 원장은 부실 PF 사업장의 정리가 지연되면서 건설사와 금융사에 모두 부담이 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금융권 PF 연체율은 2% 후반대로 금융시스템 측면에서는 관리가능한 수준이지만, 고금리 및 공사비용 상승 등으로 사업성이 현격히 악화된 PF 사업장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며 “이로 인해 금융 자금이 부실 사업장에 장기간 묶이게 되면서 건설사 및 금융회사 모두에 큰 부담이 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 원장은 금융권에 정리·재구조화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당부했다.

이 원장은 “금융권은 정리·재구조화 활성화를 위해 금융지주 계열사 등을 중심으로 모범사례를 계속 만들어 나가는 한편, 금융권 정상화 지원펀드의 조성규모 확대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여신전문업권은 다음 달 중 PF 정상화 지원 펀드를 2000억원 추가 조성할 예정이다. 저축은행 역시 업권 펀드에 757억원을 추가 투입한다.

이 원장은 “사업장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건설업계와 금융권이 서로의 애로사항을 이해하고, 무엇을 함께 해야 할지 기탄없이 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PF를 둘러싼 복잡한 이해관계를 감안할 때, 성공적인 재구조화를 위해서는 금융권과 건설업계가 손실 분담을 통해 한 발짝씩 양보하며 노력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금융 당국에서도 사업성이 낮은 사업장의 경·공매 등을 통한 정리·재구조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것이라는 게 이 원장의 설명이다.

그는 “부실 사업장을 다시 정상 궤도에 올려 놓기 위해 경·공매 등을 통한 사업장 정리·재구조화를 중점적으로 유도하고 있다”며 “PF사업장의 사업성을 보다 정교하게 평가하고 부실 사업장 정리를 촉진하기 위해 사업성평가 기준과 대주단 협약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지주를 비롯한 금융권은 경·공매 등 다양한 방식의 재구조화 사례를 적극 발굴·추진할 계획을 밝혔다.

그러면서 정상 PF 사업장에 대한 금융공급 등 부동산PF 정상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이 원장을 비롯해 건설업계에서는 대한건설협회 한승구 회장, 대한주택건설협회 정원주 회장, GS건설 김태진 사장, DL이앤씨 박경렬 부사장, 대방건설 윤대인 대표가 참석했다.

금융권에서는 우리금융그룹 임종룡 회장, 하나금융그룹 함영주 회장, 농협금융지주 이석준 회장, 메리츠금융지주 김용범 부회장, IBK기업은행 김성태 은행장, 캡스톤자산운용 김윤구 대표, 코람코자산운용 박형석 대표, 저축은행중앙회 오화경 회장, 여신금융협회 김은조 전무가 자리했다.


정석규 기자 news@ezyeconomy.com

관련기사

  •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광로 88, 2F(방배동, 부운빌딩)
  • 대표전화 : 02-596-7733
  • 팩스 : 02-522-7166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민이
  • ISSN 2636-0039
  • 제호 : 이지경제
  • 신문사 : 이지뉴스
  •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01237
  • 등록일 : 2010-05-13
  • 발행일 : 2010-05-13
  • 대표이사·발행인 : 이용범
  • 편집인 : 이용범, 최민이
  • 편집국장 : 임흥열
  • 이지경제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이지경제.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ezyeconomy.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