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액 462억7천달러, 전년동월대비 16.6% 감소
수입액 289억6천달러, 3대에너지수입 158억달러
[이지경제=윤현옥 기자] 1월 무역적자 126만9000달러, 무역적자는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새해 첫달부터 수출이 대폭 감소하며 무역적자가 4개월 연속 적자행진을 이어갔다.

산업부는 1월 수출이 전년동월(555억달러) 대비 16.6% 감소한 462.7억달러로 집계됐다고 1일 발표했다.
1월 수입은 전년동월(605억달러) 대비 2.6% 감소한 289.6억달러였다. 이에따른 무역수지는 역대최고치인 126.9억달러를 기록했다.
수출감소에는 반도체, 석유화학, 디스플레이, 철강 등이 글로벌 수요둔화의 영향을 받은것이 큰 원인으로 꼽힌다. 반면 자동차와 석유제품 수출은 두 자릿수로 증가했다.

자동차와 이차전지 수출은 역대 1월중 최고실적을 기록했고 고부가선박 수출에 힘입어 선박수출도 2개월 연속 증가했다.
반도체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48억달러(44.5%↓)가 감소하면서 1월 수출감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수출지역은 EU(유럽연합), 중동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크게 감소했다. 특히 중국(31.4%↓), 중남미(25%↓), 아세안(19.8%↓), CIS(17.6%↓) 등은 감소폭이 컸다.
1월 수입은 전년동월 대비 2.6% 줄어들어 2개월 연속 감소를 기록했다.
수입 감소는 반도체·철강 등 원부자재 수입이 줄었고, 유가가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면서 원유수입도 전년에 비해 소폭 감소했다. 반면 원유·가스·석탄 등 3대 에너지 수입은 1월(157억9000달러)에도 150억달러 이상의 대규모 수입 흐름이 계속됐다.
산업부는 최근 수출증가세 둔화는 제조기반 수출강국에 공통적으로 관측된다고 분석했다. 우리나라처럼 부족한 에너지 부존량으로 에너지 수입의존도가 높은 중국‧일본‧독일 등도 수출이 크게 줄고 에너지 수입이 늘면서 무역수지 악화와 무역적자가 발생하고 있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1월 수출 감소는 경기둔화에 따른 주요국 수입수요 감소와 반도체 가격 하락 등의 요인으로 발생”했다고 진단하면서 “당면한 수출부진을 극복하기 위해 보유한 모든 지원역량을 결집하고 수출지원 수단을 총동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 중국 봉쇄·경기침체 여파…LG생건, 작년 영업익 45%·매출 11%↓
- 유통家, ‘발렌타인데이’ 마케팅 스타트
- JVM, 창사 이래 최대 연매출 1천419억원 달성, 22.6% 성장
- SK지오센트릭, 친환경 국제 재생표준인증 ‘GRS’획득
- 대한항공, ‘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 위성 구조계 개발 사업 착수
- 유통家 물가안정 프로젝트 ‘활기’…2월엔 할인
- [이지경제 뉴스데스크] 대만 수출용 ‘신라면 블랙 두부김치’ 전량 폐기
- 지난해 자동차 376만대 생산, 수출액 역대 최고
- 물류배송과 통신탑 점검도 AI 활약
- 마스크 해제 첫날 1만9천629명 신규확진
- 삼성·LG, ‘ISE 2023’서 디스플레이 혁신기술 뽐내
- 삼성엔지니어링, 2022년 영업익 7천29억원...전년비 39.7%↑
- S-OIL, 지난해 매출액 42조4천억원, 영업익 3조4천억원
- [오늘의 금융家] 신한·KB국민은행, 가계 취약차주 지원 정책 실시
- SK하이닉스, 매출 44조6천481억원, 영업익 7조66억원
- 현대건설, 세계적 석학 ‘가시와기 마사시’ 교수 영입
- 벽화 그리기·걸음기부, 직원 참여로 의미 더해
- [오늘의 금융家] IBK기업은행, 신상품 개인카드 ‘I-ALL’ 출시
- 삼성전자, ‘갤럭시 S23’ 시리즈 전격 공개
- 전기·가스 인상에 소비자물가 상승폭 확대…1월 소비자물가 5.2%↑
- 변동금리에 중도상환수수료도 면제…2월 차량 구매 프로모션
- 현대두산인프라코어, 튀르키예 전차용 엔진 3천131억원 수주
- 작년 국내 태양광산업 무역흑자 4억1천만달러
- 무역적자 벌써 1년, 지난달도 53억달러...반도체 수출 ‘반토막’
- 13개월 연속 무역적자…3월에만 46억달러 ‘마이너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