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 인재 중심 선임 필요성 강조…외부 개입 위험성 지적
과거 대표 교체 과정 문제점 언급하며 지배구조 개선 촉구
기간통신사업자로서 KT 책임 강조하며 안정적 리더십 주문

구현모 KT 전 대표가 이번 차기 대표 공모와 관련해 “KT의 역사도, 문화도, 기간통신사업자의 역할과 책임도 모르는 분들은 참여를 자제해 달라”고 14일 밝혔다.
구 전 대표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KT 대표를 ‘좋은 일자리’라고 생각해 응모하는 분들 역시 자격이 없다”며 “KT 내부 인재 역량을 믿는다”고 밝혔다.
구 대표는 KT 대표 공모 시기마다 다수의 지원자가 물리는 이유로 ‘내부 후보 부재에 대한 오해’라고 판단했다. 하지만 실제로 KT 내부에는 현재도 충분히 역량 있는 후보들이 많이 있고, 충분히 문제를 해결하고 회사를 이끌 수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KT의 역사도, 문화도, 기간통신사업자의 역할과 책임도 모르는 분들은 참여를 자제해 달라”며 “지배구조의 핵심은 사외이사의 숫자나 권한이 아니라, 유능한 대표이사 후보를 키우고 정당하게 선택할 수 있는 건강한 구조”라고 주의를 줬다.
이어 “AI의 중요성을 잘 알지만 그렇다고 AI 전문가가 KT를 이끌 대표가 될 수는 없다”며 “KT는 AI 기업이기 이전에, 국가 기간통신망을 책임지는 기업”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차기 대표 공모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그는 “내부 인재가 선택될 때 KT의 지배구조는 비로소 단단해진다”며 “전임자가 나서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전했다.
구 대표는 3년 전 본인이 연임 심사에 통과했음에도 타의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했다는 점을 언급하며 KT 대표 심사 과정에 외부 개입이 있었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는 “정관에 따라 추천된 대표 후보를 외부에서 개입해 사퇴시키고, 사외이사들까지 사퇴하도록 해 무려 6개월 동안 대표이사·이사회도 없는 기형적 경영 공백이 만들어졌다”며 “국가 기간통신망을 책임지는 기업에서 벌어져서는 절대 안 될 일”이라고 비판했다.
이후 새롭게 이사회가 꾸려지고 새로운 대표가 선임됐지만 이사회 정당성이 훼손되고 경영의 연속성이 단절됐다고 주장했다. 특히 현재의 이사회 구조에서 차기 대표 선임 절차가 이뤄지는 것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구 대표는 “올해 초 주총에서는 내년도 임기 만료 예정 이사들이 임기 만료된 이사 4명 전원을 다시 추천해 선임하도록 하고, 정관에도 맞지 않는 인사권 관련 규정을 신설하는 등 이해하기 어려운 결정을 이어왔다”며 “KT의 지배구조가 왜곡된 결과로 탄생한 이사회로부터 다시 ‘심사’를 받아야 한다면, 이는 3년 전 사태를 직접 경험한 사람으로서 온당한 길이 아니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직원들의 열정을 끌어내지 못하는 CEO는 아무리 똑똑해도 성공할 수 없다”며 “KT 구성원을 존중하고 내부 인재의 역량을 믿으며, 조직을 건강하게 이끌 수 있는 대표가 선임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