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경제·수소 기술 학술회의에서 에너지 안보·기후 대응 기술 역할 강조
산·학·연 300명 참여…수소 전주기 혁신 성과 공유 및 기술 연계 전략 논의

사진=과기정통부
사진=과기정통부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을 위해 수소 기술의 역할과 기술혁신 방향을 논의하는 대규모 협력의 장이 열렸다. 정부와 연구기관, 기업 전문가들이 모여 수소를 에너지 전환의 핵심 축으로 삼기 위한 전략을 공유하며 기후 대응과 에너지 안보 강화를 위한 공감대를 형성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18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제6회 수소경제와 한국의 수소 기술 학술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2035 NDC 이행의 핵심 요소인 수소 기술의 방향성과 혁신 전략을 다루기 위해 마련됐다.

지난 11일 국무회의에서 확정된 2035 NDC는 2018년 대비 온실가스 53~61%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어 기존 2030 NDC보다 훨씬 강화된 수치다. 이에 따라 전력·산업·수송 등 전 부문에서 화석연료 중심 에너지 체계를 탈피하는 근본적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수소는 재생에너지 기반 수전해 기술을 활용해 무탄소 생산이 가능하며 사용 과정에서도 수증기만 배출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수소 연료전지, 수소 환원 제철, 수소차·수소 선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탄소중립 실현을 이끌 핵심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수소 핵심기술 국산화를 위해 지난해 7월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 5개소를 지정하고 2029년까지 총 1190억원을 투입한다. 이는 대용량 수전해 체계 구축, 생산효율 향상 등 실질적 수소 기술 경쟁력 확보에 초점을 맞춘 투자다. 또 산업계 활용을 강화하기 위해 93개 기관이 참여하는 ‘청정수소 R&D 혁신 연합’을 출범해 민·관 기술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이번 학술회의에는 산·학·연 전문가 300여명이 참석했다. 1부에서는 주요국 수소 활용 사례와 국제 수소 교역 확대 흐름을 바탕으로 수소가 2035 NDC 달성과 에너지 안보 측면에서 전략 자원임을 확인하는 기조 강연이 진행됐다.

2부에서는 중점연구실과 혁신 연합 참여 기관들이 수전해 연료전지, 수소저장합금 등 연구성과를 공유했다. 이어 생산·저장·활용 전주기 간 기술 연계 전략과 기후 기술 산업 경쟁력 확보 방안이 집중 논의됐다.

김성수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은 “2035 NDC 달성은 기후 위기 대응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필수 과제”라며 “수소 기술이 미래 기후 기술 산업의 중심축이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지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