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신규 투자 포함, 글로벌 공급망 강화 전략 설명
미국·국내 생산시설 확충 통한 글로벌 공급능력 강화

셀트리온이 19일 온라인 간담회를 열고 미국·국내 생산시설 확대와 바이오시밀러·신약 파이프라인 강화 전략을 발표했다. 간담회는 서정진 회장이 직접 주도했으며, 미국 공장 증설 계획과 국내 신규 투자를 포함해 글로벌 공급망 강화 및 미래 성장 전략을 설명했다.
셀트리온은 올해 안에 미국 뉴저지 브랜치버그 소재 일라이 릴리 생산시설 인수를 마무리하고 즉시 캐파 확장에 들어갈 계획이다. 인수 후 1차로 1만1000L 배양기 3기를 3년간 증설하고, 이후 2차로 동일 규모 3기를 추가해 총 6만6000L를 확보한다.
인수 및 운영 비용 약 7000억원과 별도로 증설 비용 7000억원이 투입되며, 전체 투자 규모는 약 1조4000억원이다. 미국 공장 가동으로 관세 협상 이후에도 남아 있던 품목 관세 리스크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전망이다.
국내에서도 송도 액상 완제의약품(DP) 공장을 비롯해 인천 송도의 신규 원료의약품(DS) 공장, 충남 예산의 신규 DP 공장, 충북 오창의 신규 PFS 생산시설 등 대규모 증설이 추진된다. 국내외 생산시설 확충에는 약 4조원이 투입될 예정으로 지역 균형 발전과 글로벌 수요 대응력을 모두 강화하게 된다. 미국 생산시설은 현지 공급을 담당하고, 국내 공장은 글로벌 수요 대응의 핵심 생산기지 역할을 맡는다.
셀트리온은 2038년까지 바이오시밀러 41개 제품 확보를 목표로 개발을 확대한다. 이미 글로벌 시장에서 허가받은 11개 제품에 더해 2030년까지 7개를 추가로 출시해 총 18개 제품을 상업화할 계획이다. 주요 개발 제품은 키트루다, 코센틱스, 오크레부스, 다잘렉스 등 글로벌 블록버스터 의약품이며, 아토피 피부염, 혈우병, 천식, 발작, 면역항암 등 새로운 치료영역에서도 파이프라인을 강화한다.
신약 개발도 속도를 높인다. 항체-약물접합체(ADC), 다중항체를 포함해 총 10종 이상을 기반으로 2027년에는 임상 단계 10종 이상을 포함한 20종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오픈이노베이션 방식으로 도입한 5개 후보물질은 FcRn 단백질 타깃, 삼중항체 플랫폼, ADC 플랫폼, 공간전사체 플랫폼 등을 기반으로 다양한 신약 후보로 확장이 가능하다.
비만 치료제 개발에서도 차별화 전략을 제시했다. 현재 개발 중인 4중 작용제 ‘CT-G32’는 기존 GLP-1 기반 치료제의 한계를 개선하고 체중 감소율을 최대 25%까지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셀트리온은 질환 모델 동물 평가를 진행 중이며 2026년에 전임상 돌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4분기를 기점으로 실적 턴어라운드를 예상했다. 3분기 대비 최소 30% 이상의 매출 증가, 30%대 중반의 매출원가율, 40% 내외 영업이익률 등 주요 지표 개선이 전망된다. 이는 합병에 따른 일시적 비용 부담 종료와 함께 신규 고수익 제품의 가파른 성장세가 더해진 결과다.
특히 미국과 유럽에 출시된 스토보클로-오센벨트와 옴리클로는 출시 초기부터 현지 호평을 받으며 처방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연말에는 아이덴젤트와 스토보클로-오센벨트가 유럽 추가 출시되며 매출 성장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고수익 신규 제품 성장세에 힘입어 4분기부터는 기존과 차원이 다른 실적 개선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실적 성장을 기반으로 미래 신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