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공급과잉·무역장벽 격화 속 철강 의존 높아 위기 지역 판단
긴급경영안정자금·보증지원·지방투자보조금 우대 등 종합대책 가동

정부가 철강 의존도가 높은 광양시의 산업 기반 약화를 우려해 ‘산업위기 선제 대응 지역’으로 공식 지정했다. 향후 2년간 정책금융과 투자 지원을 집중해 지역경제의 충격 최소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산업통상부는 산업위기 대응 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광양시를 오는 2027년 11월 19일까지 2년간 산업위기 선제 대응 지역으로 지정했다고 20일 밝혔다. 글로벌 철강 공급과잉, 미국의 관세 정책, EU의 저탄소 전환 압력 등 대외 여건 악화가 이어지는 가운데, 철강에 과도하게 의존한 광양시 경제가 급속히 위축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광양시는 지역 생산의 88.5%, 수출의 97.5%, 고용의 9.7%가 철강산업에 집중된 대표적 단일 산업 구조를 지니고 있다. 최근 저가 철강 수입재 증가, 판매단가 하락, 내수 침체가 겹치면서 지역경제 전반에 경고등이 켜진 상황이다. 전라남도는 지난 10월 광양시의 위기 상황을 근거로 산업위기 선제 대응 지역 지정을 신청했으며, 산업부는 현지 실사와 관계 부처 협의를 거쳐 지정을 최종 확정했다.
이번 조치에 따라 정부는 긴급 경영 안정 자금, 지방 투자 촉진 보조금 우대, 정책금융 확대 등 다양한 맞춤형 지원을 즉시 가동한다. 중소기업에는 만기 연장·상환 유예가 제공되고,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은 협력업체와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우대보증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지방 투자 촉진 보조금 역시 기업 규모별로 최대 50%까지 지원 폭이 확대된다.
또 산업위기 지역 기업의 금융 부담을 줄이기 위한 이차보전 프로그램이 가동된다. 기업 경쟁력 강화, 인력 양성 등 지역 맞춤형 사업도 함께 추진된다. 정부는 향후 연구개발, 고용안정, 경영 자문 등 필요한 지원 사업을 2026년 이후 예산에 반영해 광양 철강산업 생태계 회복을 후속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