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부처, GPU 확보 계기 AI 인프라 확충·글로벌 협력 방향 논의
AI 데이터센터 분산 추진 및 전력 규제 개선 등 핵심 과제 점검
AI 성장 따른 전력 수요 대응 위해 안정적 공급 체계 공동 마련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기후에너지환경부는 21일 ‘AI 대전환을 뒷받침하기 위한 정책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간담회에는 류제명 과기정통부 2차관과 이호현 기후부 2차관이 참석했다. 회의 참석자들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을 계기로 엔비디아의 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 26만장을 확보하는 등 민·관 AI 인프라 투자가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AI 산업 성장에 따른 전력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아울러 대통령의 아랍에미리트(UAE) 국빈 방문을 계기로 추진한 UAE 스타게이트 참여, 블랙록과의 업무협약(MOU) 체결 등 그동안 정부가 추진해온 글로벌 AI·에너지 협력 방향을 논의했다.
양 부처는 AI를 활용한 기후 변화 대응과 탄소중립 실현, AI 데이터센터 구축·확산 등 AI·에너지 관련 정책 협력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또 AI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전력 공급이 필수적인 요소라고 공감하면서 ▲AI 데이터센터 비수도권 이전 촉진 ▲분산에너지 특구 활성화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점검 방향 ▲전력 관련 규제 개선 ▲글로벌 협력 등에 대해서도 협의했다.
앞으로도 두 부처는 AI·전력·탄소중립 등 정책 추진 과정에서 긴밀하게 소통할 방침이다. 빠른 시일 내 양 부처가 업계와 함께 공동 참여하는 AI·에너지 관련 태스크포스(TF)도 구성할 계획이다.
류 차관은 “AI가 국가경쟁력 핵심 요소로 자리하고 있다”며 “AI 인프라가 적시에 구축될 수 있도록 양 부처가 원팀이 돼 협업하고 AI가 탄소 중립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필요한 지원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차관은 “전 세계적인 탄소 전원 감축 추세에 맞춰 에너지 전환을 추진할 것”이라며 “양 부처 협업을 통해 AI 데이터센터 등 전력 수요 증가에 대응해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도록 정책적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