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승용차 두 자릿수 증가…11월 수출 비중도 확대
중국·미국·EU 수출 동반상승…베트남·일본은 소폭 감소
수입도 기계·정밀기기·승용차 중심 증가…원유·가스 부진

11월 들어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교역 흐름이 살아나면서 우리나라 수출이 두 자릿수 증가세를 회복하고 무역수지는 안정적인 흑자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와 승용차가 호조를 이끈 가운데, 주요국별 교역 흐름도 점차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관세청은 21일 11월 1일부터 20일까지 한국의 수출은 385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2%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같은 기간 수입은 361억 달러로 3.7% 늘었다. 이에 따라 이달 무역수지는 24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고, 연간 누계 기준 흑자 규모는 587억 달러에 이르렀다.
이번 수출 증가세는 반도체와 승용차가 주도했다. 반도체 수출은 전년 대비 26.5% 증가하며 전체 수출의 25.3%를 차지해 비중이 3.7%p 확대됐다. 메모리 가격 개선과 서버·AI 수요 증가가 지속된 영향이다.
승용차 역시 22.9% 증가해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고, 선박(2.3%), 컴퓨터 주변기기(16.8%)도 증가하며 수출 증가세에 힘을 보탰다. 반면 석유제품(19.3%), 철강제품(9.2%), 자동차부품(8.1%) 등은 감소했다. 글로벌 정유마진 둔화와 철강 수급 불안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교역국별 흐름을 보면 중국(10.2%), 미국(5.7%), 유럽연합(4.9%), 대만(16.7%)으로의 수출이 모두 늘었다. 중국·미국 양대 시장이 회복세를 보인 데다 EU의 공작기계·차량 관련 수요가 증가한 결과다. 반면 베트남(2.5%), 일본(3.9%)으로의 수출은 소폭 줄었다.
수입은 기계류(13.6%), 정밀기기(8.2%), 승용차(35.6%), 석탄(9.7%) 등이 증가했다. 산업·설비 투자 수요가 유지되고 있고 해외 브랜드 차량 수입이 늘어난 영향이다. 다만 반도체(3.8%), 원유(16.4%), 가스(30.8%) 등 에너지·IT 원료 수입은 감소했다. 국제유가 안정과 글로벌 가스 가격 하락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국가별로는 중국(5.6%), 미국(13.5%), EU(15.2%), 일본(1.0%) 등에서의 수입이 증가한 반면, 대만(0.1%), 사우디아라비아(35.2%)는 감소했다.
11월 중순까지 집계된 교역 흐름이 개선세를 보이면서 연말까지 무역흑자 기조가 유지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반도체 경기 회복과 글로벌 자동차 수요 확대가 지속되는 만큼 향후 수출 모멘텀도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