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주행 성능 확보 위한 3차 기술 협력 체결, 공동 연구 강화
초저회전저항·가상 시뮬레이션·기술 교류 기반 모빌리티 혁신 추진

현대차·기아 제네시스설계센터장 신용석 상무(왼쪽)와 미쉐린 조지레비 아시아퍼시픽 OE 총괄 부사장이 기술 공동 개발 업무협약식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현대차·기아
현대차·기아 제네시스설계센터장 신용석 상무(왼쪽)와 미쉐린 조지레비 아시아퍼시픽 OE 총괄 부사장이 기술 공동 개발 업무협약식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현대차·기아

현대자동차·기아가 글로벌 타이어 제조사 미쉐린과 3차 기술 공동개발 협약을 체결하고 주행 퍼포먼스를 고도화하기 위한 차세대 타이어 기술 연구에 착수한다. 양측은 지난 24일 경기도 화성 남양연구소에서 기술 공동개발 업무협약식을 열고 향후 3년간 타이어 성능 향상과 가상 시뮬레이션 기술 고도화, 상호 기술 교육과정 운영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번 협약은 2017년과 2022년 타이어 기술 고도화를 위한 1·2차 공동연구에 이어 세 번째로 체결되는 후속 협력이다. 양측은 앞선 협력을 통해 후륜구동 전기차에 적합한 타이어 규격을 도출하고, 마모 특성 연구와 친환경 타이어 개발 등 성과를 공유해 왔다.

현대차·기아와 미쉐린은 3차 협약을 통해 ▲타이어 성능 향상 연구 ▲오프로드 환경 기반의 가상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기술 인력 간 상호 역량 교류를 수행한다. 특히 초저회전저항 타이어와 스마트 그립 기술을 활용한 주행 제어 연구를 중심으로 차량의 고속 주행 안정성 확보, 제동 성능 강화 등 실제 주행에서 요구되는 성능 고도화에 주력할 계획이다.

가상 시뮬레이션 분야에서는 오프로드 타이어 개발 환경의 질적 향상을 위한 버추얼 시뮬레이션 고도화와 연구·검증 과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버추얼 개발 프로세스 구축이 추진된다. 이를 통해 다양한 노면 환경을 실시간에 가깝게 구현해 개발 기간 단축과 테스트 정확도를 높이는 기반을 마련한다는 설명이다.

양측은 상호 기술 교류를 중심으로 각 사의 전문성을 연결하는 협력도 확대한다. 현대차·기아는 차량·샤시 교육 과정을 제공하고, 미쉐린은 타이어 설계·평가 등에 대한 기술 교육을 지원해 연구개발 인력의 전문성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신용석 현대차·기아 제네시스설계센터장은 “이번 기술 협력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선도할 타이어 기술 혁신을 기대한다”며 “각 사가 보유한 전문 역량의 시너지가 차량의 주행 퍼포먼스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기아는 1·2차 공동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차세대 모빌리티 환경에 최적화된 타이어 기술 확보에 속도를 높일 계획이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기술 경쟁력 제고를 목표로 협력 범위를 지속 확대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이지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