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공항 국내선부터 종이사용 감축…키오스크 발급 모바일로 일원화
연 24만장 종이 절감·수수료 폐지까지…지속가능여행 환경 조성 박차

김포공항 국내선 청사에서 제주항공 탑승객이 키오스크를 이용해 모바일 탑승권을 발권 받고 있다. 사진=제주항공
김포공항 국내선 청사에서 제주항공 탑승객이 키오스크를 이용해 모바일 탑승권을 발권 받고 있다. 사진=제주항공

제주항공이 김포국제공항 국내선 키오스크에 모바일 탑승권 발급 시스템을 도입하며 친환경·디지털 기반 여행 문화 확산에 속도를 낸다. 종이 절감과 이용 편의 개선을 동시에 추진, 지속가능한 항공 서비스 전환을 가속하는 모습이다.

제주항공은 한국공항공사와 협력해 11월 26일부터 김포국제공항 국내선 키오스크에서 발급되던 종이 탑승권을 모바일 탑승권으로 전면 전환했다고 밝혔다. 김포공항 출발 제주항공 국내선 이용객은 기존과 동일한 방식으로 키오스크 수속을 마친 뒤, 휴대전화 번호 또는 이메일을 입력하면 즉시 모바일 탑승권을 받을 수 있다.

제주항공은 김포공항을 시작으로 전국 주요 국내선 공항까지 모바일 탑승권 시스템을 확대할 계획이다. 디지털 전환 속에서도 이용객 부담을 줄이기 위해 지난 11월 1일부터 국내선 카운터 수속 수수료를 폐지하며 접근성을 높였다.

종이 사용 감축은 이미 가시적 성과를 내고 있다. 제주항공은 지난해 3월 반려동물·특수 수하물 운송 서약서 등 10종의 필수 서류를 전자문서로 전환했고, 올해 10월에는 기내 비치물이던 ‘검역관리지역 안내서’를 디지털로 대체했다. 이를 통해 연간 약 24만장의 종이를 절감하고 있으며, 이는 30년생 원목 약 25그루를 보전하는 효과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탑승권 발급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종이 사용을 줄여 환경 보호에 동참하는 것이 핵심 목적”이라며 “지속가능한 여행 문화를 확산시키면서 승객에게 더욱 효율적인 수속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지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