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지경제] 남경민 기자 = 지난해 우리나라 수산물 수출액은 약 2조4751억원(23억3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또 김 수출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수산물 수출액이 전년(21억3000만 달러) 대비 약 9.5% 증가한 23억3000만 달러로 잠정 집계됐다고 7일 밝혔다.
수산물 수출액이 23억 달러를 돌파한 것은 지난 2012년(23억6000만 달러) 이후 5년 만이다.
지난해 1분기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해 연초부터 순조로운 흐름을 보였다. 지난 4월부터 9월까지 사상 최초로 6개월 연속 월 수출액 2억 달러를 돌파했다. 또 긴 연휴로 조업일수가 적었던 10월을 제외하고 매월 전년 동월 대비 높은 실적을 유지해 역대 2위 실적을 달성했다.
특히 수산가공품 수출이 급증해 사상 최초로 9억 달러(24.4%↑)를 돌파하며 전체 수출 증가세를 견인했다.
해수부는 과거 원료용 냉동수산물 형태로 수출이 이뤄지던 것에서 단가가 높은 수산가공품 중심으로 전환돼 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가별 수출액을 살펴보면 미국(2억800만 달러), 베트남(1억1000만 달러), 프랑스(6000만 달러) 순으로 수출이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특히 베트남으로의 수출액이 최초로 1억 달러를 돌파해 연간 1억달러 이상 수출하는 국가가 5개국으로 늘었다.
수출 상대국 숫자도 총 144개국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일본‧중국‧미국 등 상위 3개국으로의 수출 비중이 64%에서 61%로 줄어들면서 수출시장도 다변화되고 있다.
수출 1위 국가는 일본으로 지난해 국가별 수산물 수출 비중이 33.1%를 기록했다. 특히 엔화가 약세를 보이는 여건 속에서도 김(1억1000만 달러)과 굴(2000만 달러) 수출 증가 등에 힘입어 일본에는 총 7억7000만 달러를 수출했다.
수출 비중이 2번째로 높은 중국의 경우 김(9000만 달러), 대구(4000만 달러) 등의 품목이 호조세를 보였다. 반면 참치(3000만 달러)와 오징어(2000만 달러)의 수출이 감소해 대(對) 중국 총 수출액이 3억7000만 달러를 기록해 전년 대비 소폭 감소했다.
미국은 김(9000만 달러), 이빨고기(5000만 달러) 등의 수출이 증가해 2억8000만 달러를 수출했다. 또 태국의 경우 참치(1억4000만 달러), 김(7000만 달러) 등 주력 품목의 수출이 증가함에 따라 2억4000만 달러를 수출했다.
노진관 해양수산부 수출가공진흥과장은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수산물 수출이 역대 2위 실적을 기록하고 참치, 김 등이 사상 최고치를 달성하는 등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며 “올해도 원화 강세, 비관세장벽 강화 등으로 수출 여건이 녹록치 않을 것으로 전망되나 수출 시장 다변화와 고부가가치화에 역점을 두고 수출 증가세를 이어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