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수출기업 322개사 대상 설문조사....기술·R&D, 규제완화 등도 요구

[이지경제=김성미 기자] 우리나라 수출기업들은 4·10 총선을 통해 구성될 제22대 국회에 정책금융 지원 확대와 관련한 입법을 가장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KITA)는 무협은 2월23일부터 3월8일까지 보름간 무협 회원사 대표 등 322개사를 대상으로 한 ‘제22대 국회에 바라는 무역업계의 건의사항’ 설문조사 결과를 이같이 드러났다고 2일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기업 322개사 중 36.6%는 제22대 국회가 1순위로 다뤄야 하는 분야로 ‘정책금융’을 꼽았다. 이어 ‘기술·R&D(26.1%)’, ‘규제(24.2%)’, ‘노동(13.1%)’ 등이 뒤를 이었다.
수출기업들은 ‘정책금융’ 분야의 입법 방향으로 ‘수출기업 대상 대출 프로그램 확대 및 정책금융 수혜조건 완화(30.7%)’를 우선적으로 요청했다.
다음으로는 ‘위기상황시 원금·이자 상환유예 등 긴급지원 방안 마련(17.2%)’, ‘정책금융의 적용 금리 부담 완화(17.2%)’ 등을 제시했다.
‘기술·R&D’ 분야에 대해서는 ‘설비투자 및 R&D(연구개발)에 대한 세제지원 및 보조금 확대(43.0%)’를 희망하는 비중이 가장 높았다.
이어 ‘제조업의 첨단화·고도화 지원’(28.1%), ‘이공계 인력의 활용촉진과 처우개선(12.0%)’이 뒤를 이었다.
‘규제’ 분야와 관련해 웅답기업들은 ‘외국환거래법 등 금융 규제완화 입법(22.7%)’, ‘중대재해처벌법 등 노동3법 관련 규제완화(21.4%)’ 등을 22대 국회에서 추진해야 한다고 답했다.
다만 연 수출실적 500만달러(한화 약 67억4500만원) 이상인 기업들은 ‘세제 개편을 통한 가업승계 부담완화(27.1%)’를 1순위로 꼽아 기업규모가 커질수록 가업상속 관련 부담도 커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노동’ 분야에서는 ‘최저임금 차등적용 등 인건비 부담완화(28.9%)’, ‘현장 특성을 반영한 유연한 근로시간제 도입(16.3%)’, ‘외국인력 고용 관련 규제 완화 및 장기체류 지원(15.1%)’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한편, 제21대 국회에 대한 평가에 대해 수출기업들은 2022년 10월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중소기업 금융지원 확대 법안 통과(41.1%)’를 가장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지난 국회의 아쉬운 점으로는 ‘여-야간 극심한 대립 및 소모적 정쟁 지속(30.5%)’, ‘수출·산업 경쟁력 약화를 초래하는 느린 입법처리 속도(19.6%)’를 꼽았다.
이인호 무협 부회장은 “대외경제 불안과 고금리가 지속되며 기업들의 자금·금융 부담이 커지고 있다”며 “무협도 업계가 겪는 애로·규제 등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새로 출범할 22대 국회와 소통하며 수출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지원 법안 발의를 돕겠다”고 밝혔다.
- 한국콜마홀딩스, ‘콜마홀딩스’로 사명 변경
- 기아, ‘뉴욕 오토쇼’서 ‘더 기아 K4’ 세계 최초 공개
- 현대百, K패션 해외 진출 전초기 ‘더현대 글로벌’ 론칭
- 스마트팜 ‘글로벌 경쟁력’ 확보...국내 생태계 강화가 필수
- 국내기업, ‘지속가능 경영’ 강화…재활용 등 친환경에 ‘방점’
- 세계 4대 생산·제조 기술 전시회...‘심토스 2024’ 킨텍스서 개막
- 산업부, 루마니아와 산업·통상·에너지 협력 확대
- [이지기획] 대체식품이 뭐길래...주요 식품기업들 미래동력으로①
- 獨 ‘프로바인 2024’ 성료...“프리미엄 안동소주에 이목 집중”
- LG엔솔·GM, 합작법인 얼티엄셀즈 제2공장 본격 가동
- IBK기업은행, ‘中企 금융비용 경감 프로그램’ 시행
- 중기부, 中企 생산자금 애로 해소 위해 핀셋 지원 나서
- 무협·GS리테일·NH농협무역, ‘中企, 해외진출 지원’ 맞손
- 수출기업 “디지털 전환, 수출 증대에 도움된다”
- 현대자동차, 나신평 신용등급 ‘AAA’로 상향
- “사업전문성 강화”...한화에어로스페이스, 인적분할 결정
- 환차손 공포에 외국인 매도 폭탄...코스피 2600선 붕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