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위면적당 설치 ATM…지역 간 격차 116배
윤관석 의원 “포용금융 관점 접근 격차 줄여야”

[이지경제=김성미 기자] 지난해 서울에서 사라진 현금자동입출금기(ATM)가 896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부산 417개, 경기 179개, 인천 176개, 대구 155개가 줄어들었다.
윤관석 의원(사진, 인천남동을, 더불어민주당)이 한국은행을 통해 받은 ‘광역시도별 ATM 설치현황’에 따르면 단위면적당(1㎢) 설치된 ATM 대수가 2019년 서울 36.4대에서 2020년 34.9대로 줄면서 0.3대인 강원도와의 격차가 소폭 줄었지만, 지역 간 격차가 116배로 여전히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 1769개의 ATM이 사라졌지만 일부 광역시도에서는 소폭 늘어났다. 울산 52개, 세종 45개, 전남 33개, 경북 30개, 강원 27개, 충북 13개, 제주 10개 순으로 각각 증가했다.
전체적으로는 ATM이 감소했지만 부가통신사업자(VAN사)가 운영하는 ATM이 증가한 곳도 있었다. 경기 136개, 대구 41개, 경남 28개, 인천 20개, 대전 12개, 광주 10개 순으로 늘었다.
윤 의원은 “우리나라의 ATM 보급률은 해외 주요국에 비해 3배 이상 높은 수준”이라면서도 “금융기관 및 VAN사 간 공조 없이 ATM 운영 전략이 지속될 경우 지역별로 과잉 또는 과소 공급되는 등 불균형이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단위면적당 설치된 ATM 대수를 보면 서울이 34.9대로 가장 많았다. 이어 부산 9.1대, 광주 6.6대, 대전 6.1대, 대구 5.9대, 인천 5.6대, 울산 2.7대, 경기 2.7대, 제주 1.1대 순이었다.
이외 경남 0.8대, 충남 0.7대, 충북 0.6대, 전북 0.5대, 경북 0.4대, 전남 0.4대, 강원 0.3대 등으로 조사됐다.
윤 의원은 “금융당국은 포용금융 관점에서 ATM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방안을 마련해 지역 간의 현금 접근권 격차를 줄여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 한국은행을 비롯한 금융기관 및 VAN사 등과 긴밀히 협의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 문재인 정권, 중기중심 경제제체 만든다더니…카카오·네이버에 ‘몰빵’
- 해외주식 소수점거래, 성공…최근 3년간 100배 이상↑, 1조4천700억원
- 금결원 노조, 한은·금융위 갈등에 반발…"금결원은 전리품 아냐"
- 한은·금융委, 기싸움 ‘후끈’…전금법 개정안 놓고 갈등
- 네이버·카카오페이 지급결제 관리는 한은이…한은법 개정안 발의
- 윤관석, '전금법' 개정안 대표발의…금융위-한은 갈등 절충안 제시
- 종이 호랑이 공정委, 작년 미징수 과징금 363억원
- “카카오 수수료 이중착취”…환불수수료로 717억 벌어
- 성범죄 공무원 연평균 400명…‘입건 인원’ 1위 경찰
- 소비자 10명 중 7명, 온라인플랫폼 제도 개선 원해
- 여성 공시생, 성공하려면 조폐公 피해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