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투자 부담 없이 합리적 종량과금...HPC 환경 기반 효율성 10배 이상 향상

[이지경제=정석규 기자] KT는 자동차, 조선, 항공우주, 구조물 등 분야의 제조 연구·개발(R&D) 기업에 원활한 시뮬레이션 수행을 지원하는 ‘엔지니어링 플랫폼 서비스’의 포털을 열었다고 5일 밝혔다.
KT 엔지니어링 플랫폼 서비스는 고성능 클라우드 컴퓨팅 자원(HPC)과 업계 표준 유동해석, 구조해석 솔루션을 결합한 해석 시뮬레이션을 제공한다.
자동차, 조선, 항공과 같은 제조사는 설계, 해석, 생산의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 중 해석 과정을 반복해 제품을 최적화한다.
제조사의 R&D부서는 웹에서 직접 해석업무 환경 구성과 시점을 정해 제품 생산 이전에 성능, 강도, 내구성 등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어, 제품 생산을 위한 해석업무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제조사들은 KT 엔지니어링 플랫폼 서비스 도입을 통해 기존 해석업무 시스템의 구축형 방식 대비 최대 60% 비용을 절감 할 수 있다.
용량에 따른 종량제 과금 방식으로 시스템 도입에 대한 초기 투자 비용 부담이 없으며, 산발적인 해석 업무 발생시에도 유연하게 대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KT는 엔지니어링 플랫폼 서비스에 웹 기반 콘솔의 자동화를 적용했다.
이를 통해 고객들은 최대 3168 코어에 달하는 HPC 환경을 빠르고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에는 최대 한달까지 소요되던 해석 업무를 몇 시간 내로 완료할 수 있어, 업무 효율성을 기존 대비 10배 이상 향상시킬 수 있다.
KT는 서비스 포털 오픈을 준비하며 자동차 부품 제조사, 스타트업, 파트너사 등 7개 기업을 대상으로 서비스 포털의 베타 서비스(CBT)를 통해 해석 업무의 효율성 향상을 검증했다.
향후 KT는 서비스 포털 오픈을 기점으로 본격적인 고객사 확보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서비스 신청 고객사에게 약 500만원 상당의 무상 기술 검증(PoC)을 최대 2개월 간 제공한다. 신청 고객사는 무상 기술 검증 기간 이후 상용 서비스로 전환 시, 서비스 이용료를 약 30% 할인된 금액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KT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4’에서 엔지니어링 플랫폼 서비스를 선보였다. 부스 전시를 통해 엔지니어링 플랫폼 포털 접속과 작업 업로드, 해석 작업 진행 결과 확인까지 서비스 전반에 대해 소개했다.
김재권 KT 전략·신사업부문 DX사업본부장(상무)은 “수많은 제조 기업이 디지털 전환(DX)을 위해 신기술을 도입하고 있다”며 “KT는 B2B ICT 사업 경험과 역량 바탕으로 클라우드 엔지니어링 플랫폼 서비스 시장을 개척하고, 제조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리딩하겠다”고 말했다.
- KT, AI통화비서 ‘보이스 스타일링’ 출시
- KT, AWS와 ‘생성형 AI·모바일’ 사업 협력 강화
- KT, 지니TV 키즈랜드 ‘스콜라스틱 시즌3’ 공개
- KT, 올해도 ‘M360 APAC 서울‘ 주관한다
- KT, MWC 2024서 UAM 운항 안전성 확보 위한 기술 선보여
- KT 지니TV, ‘서울의 봄’ 등 최신영화 무료화로 콘텐츠 강화
- 말본골프, 투웨이 디자인의 골프화 ‘베케이’ 출시
- 이마트24, 신안군과 지역 특산물 유통·식문화 발전 위해 ‘맞손’
- GC녹십자, 3세대 항히스타민제 ‘알러젯 연질캡슐’ 출시
- ‘PASS스마트항공권’, 대한항공·진에어 양 날개 달았다
- KT, 매장 방문 고객 대상 ‘에너지UP 프로모션’ 진행
- KT·삼성전자, 대학생 서포터즈 교류로 아이디어 발굴
- KT, ‘로밍 데이터 함께ON’ 서비스 혜택 확대
- KT 멤버십 3월 ‘달.달.혜택’ 공개 “함께하니 달다 달아”
- KT, 로봇교육 기업 ‘로보라이즌’과 AI 코딩 교육 맞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