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지수’ 2017년 73.3점→작년 70.3점
식약처 “식생활 지도와 교육·홍보 감소 때문”
[이지경제=김진이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우리나라 어린이의 식생활 안전과 영양관리 수준을 보여주는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가 2017년 73.3점에서 지난해 70.3점으로 3점 하락했다고 29일 밝혔다.
안전지수는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3년마다 조사하며, 조사 내용은 식생활 안전(40점), 영양(40점), 인지·실천(20점) 등 3개 분야 29개 항목이고 만점은 총 100점이다.
안전지수를 항목별로 보면 안전 분야 점수는 2017년 32.4점에서 지난해 33.5점으로 상승했다.
지난해 6월 안산 유치원 집단 식중독 발생 뒤 각 지자체가 ‘어린이 급식 시설 전수 점검 체계’를 도입해 점검을 강화했고,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위생관리 지원을 받는 급식소가 늘어나면서 해당 항목의 점수가 향상했다는 게 식약처의 설명이다.
반면 영양 분야 점수는 같은 기간 26.3점에서 22.9점, 인지·실천 분야 점수는 14.6점에서 13.9점으로 감소했다.
식약처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로 식생활 지도와 교육·홍보가 감소한 데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인지·실천 분야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해 학교 우유급식이 축소돼 흰 우유 섭취가 감소했고, 아침 식사 섭취도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1주일간 흰 우유를 1팩 이상 마셨다고 응답한 어린이 비율은 2017년 89.2%에서 지난해 80.1%로 줄었고 1주일간 하루 이상 아침을 먹었다고 응답한 대상은 전체의 95.2%에서 91.6%로 다소 감소했다.
지난해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가 평균점인 70.3점 이상인 지자체는 126곳(55.3%)이고 이 가운데 22곳이 75점 이상을 받았다.
식약처는 “22곳 지자체는 코로나19 상황에도 어린이 식생활 환경 개선을 위해 학교 주변 업소에 대한 점검과 영업자 위생교육 등을 적극적으로 했고, 이 지역에서는 대부분 지난 3년간 학교 식중독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식약처는 22곳 중 대전 대덕구, 전남 광양시, 전남 화순군을 최우수 표창 대상으로 선정했다.
지난해 지수는 대도시 71.0점, 중소도시 70.6점, 농어촌 70.0점으로 나타났는데, 2017년에 비해 농어촌의 하락 폭이 가장 컸다.
- 신규확진 휴일에도 3천명대, 28일 3천309명…위중증 629명
- [개장시황] 코스피, 변이 바이러스로 3천선 밑 추락…천스닥도 무너져
- 위중증·사망자 ‘모두’ 최다…신규확진 3천928명
- 수입식품법 ‘위반’ 신고하면 포상…식약처, 개정안 입법예고
- ‘족집게’ 이지경제, 코로나19 日확진자 4천명 시대…26일 4천68명 확진
- [관심주] SK바사, 노바백스 승인신청 주가급등…내년 하반기 자체백신 출시 전망
- 10월 오프라인 유통 매출 10% 증가…대규모 ‘할인행사’ 효과
- 필름형·젤리형 비타민 제품 출시 절차 ‘간소화’
- 셀트리온 ‘렉키로나’, 본격 유럽 수출…9개국에 5만명분 공급
- “맛있는 겨울 나세요”…연말 모임은 집에서 ‘밀키트’로
- ‘요일 최다’ 신규확진 3천32명…10세 미만 첫 사망
- 식약처, 첨단바이오의약품 투여 추적 전산망 구축
- 신규확진 첫 5천명대 비상·위중증 연일최다…“추가 방역 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