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리튬 생산업체와 첫 협력, 2025년부터 7년간 공급
친환경 공법 활용 탄소배출량 줄여, ESG 경쟁력 강화
북미 배터리 공장의 ‘안정적 원재료 공급망’ 체계 구축
[이지경제=이승렬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현지에서 고용량 전기차 배터리 핵심 원료인 리튬 공급망을 한층 강화한다.
LG엔솔은 미국 컴파스 미네랄(Compass Minerals)과 탄산수산화리튬 공급에 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탄산수산화리튬은 고용량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인 양극재를 구성하는 필수 원료다.
LG엔솔이 미국 리튬 생산업체와 업무 협약을 체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MOU를 통해 LG엔솔은 2025년부터 7년간 컴파스 미네랄이 생산하는 친환경 탄산수산화리튬의 40%를 공급받을 예정이다. 구체적인 공급 물량은 향후 본 계약에서 확정된다.
글로벌 광물업체 컴파스 미네랄은 현재 전기차 배터리시장 진출을 위한 리튬자원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 유타주에 위치한 그레이트솔트 호수를 활용해 황산칼륨, 염화마그네슘 등을 생산하는데 이 과정에서 버려지는 염호(리튬을 포함한 호숫물)를 이용해 리튬을 생산할 계획이다.
이는 염호에서 리튬을 직접 추출하는 DLE(Direct Lithium Extraction) 공법을 적용, 태양열바람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리튬을 생산해 기존 리튬 생산 업체보다 탄소 배출량이 적은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LG엔솔은 원재료 공급망 구축 과정에서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김동수 LG엔솔 구매센터장(전무)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북미 배터리공장의 안정적인 친환경 원재료 공급망을 강화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며 “안정적인 글로벌 공급망 체계를 갖추는 것이 배터리 사업의 핵심 경쟁력인 만큼 앞으로 이를 더욱 강화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LG엔솔은 호주, 유럽, 남미 등 지역별 원재료 공급망 체계를 공고히 하며 배터리 핵심소재를 선제적으로 확보하고 있다.
LG엔솔은 세계 최대 리튬 생산업체 중 하나인 칠레 SQM, 독일 벌칸 에너지와 2029년까지 리튬 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으며, 리튬 정광(리튬 원료)을 생산하는 광산업체인 브라질 시그마 리튬, 호주 라이온타운 등과도 장기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 삼성전자, 3나노 시대 열었다…미세공정 한계 돌파
- SKT, 한국서비스품질지수(KS-SQI) 23년째 1위
- KT, 알뜰폰 이용자 위한 전용서비스 오픈
- 삼성전자, 여름철 에너지 절약 위한 업데이트 진행
- 산업부, 미래차·친환경 등 분야 20개사에 사업재편 승인
- 삼성전자 ‘에코라이프랩’, 국제 바이러스 시험소 인증
- SKT, 통신 빅데이터로 교통혼잡 해결 나선다
- KT·LG유플러스, 탄소중립 실현에 박차
- 두산에너빌리티, SGRE와 맞손…해상풍력 사업 확대
- 삼성, 세계 최초 240㎐ 고주사율 4K 게이밍 모니터 출시
- 현대두산인프라코어, ‘탄소제로’ 수소엔진 개발 본격화
- 효성, 한전과 전력설비 사업 협력
- SK에코플랜트, 프리IPO 마무리…자본 1조원 유치
- 양자기술 성과 발표…政, 올해 818억원 투자
- 유럽간 LG엔솔 권영수 부회장…폴란드서 배터리ㆍ스마트팩토리 점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