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용차·건설기계용 수소엔진 본격 개발
2025년 본격 양산화로 시장 선점할 것
[이지경제=윤현옥 기자] 현대두산인프라코어가 상용차, 버스 및 건설기계에 사용될 수소엔진 개발에 나섰다.
현대중공업그룹이 수소 밸류 체인 구축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건설기계부문 계열사인 현대두산인프라코어가 상용차, 버스 및 건설기계에 사용될 수소연소엔진(이하 수소엔진) 개발에 본격적으로 돌입한다고 26일 밝혔다.

현대두산인프라코어는 최근 국책과제인 ‘건설기계/상용차용 수소엔진 시스템 및 저장/공급계 개발’(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현대두산인프라코어는 이번 사업을 통해 ‘탄소 제로’ 실현이 가능한 출력 300KW, 배기량 11리터급 수소엔진과 수소 탱크시스템 등을 개발할 예정이다. 2024년까지 트럭, 대형버스 등 상용차와 굴착기 등 건설기계에 수소엔진을 탑재, 검증을 거친 후 2025년 본격적인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수소엔진은 기존 내연기관에 연료 공급계와 분사계 등을 변경해 수소를 연소시켜 동력을 얻는 방식이다. 지구온난화에 대응하는 미래 3대 탄소중립 파워트레인(전기배터리, 수소연료전지, 수소엔진) 중 하나다.
수소엔진은 기존 엔진 기술과 설비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 절감과 동시에 상용화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99.99% 이상의 고순도 수소를 이용해야 하는 연료전지와는 달리 수소엔진은 저순도의 수소로도 구동이 가능해 경제적이다. 특히 건설기계나 중대형 상용차에는 수소엔진이 가장 적합한 엔진 시스템으로 꼽히고 있다.
현대두산인프라코어는 1985년 독자 디젤엔진을 개발한 이래 현재까지 건설중장비, 발전기, 선박용 엔진 생산 등 내연기관에서 쌓아온 기술력을 바탕으로 이번 수소엔진 개발으로 관련 시장을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마켓스탯츠빌(Market Statsville) 조사에 따르면 수소엔진의 시장은 2022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8.74%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강화된 배기가스 규제인 유로7(Euro7)과 탄소중립을 위한 이산화탄소 규제의 시행을 앞두고 상용차 브랜드들의 친환경 엔진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며, 영국, 독일, 일본 등 글로벌 자동차 및 엔진 제작 기업에서 수소엔진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 롯데건설, 상반기 3조원 수주액 돌파하나
- 포스코, AI감지 강제제동 ‘지게차 자동 정지 기술’ 도입
- 대우건설, 베트남 사업 확대 추진
- 현대제철, 전기차용 고성능 소재 시장 적극 공략
- [항공] 대한항공, ‘2022 ATW 올해의 화물 항공사’ 선정 등
- 政, 원전협력사에 긴급 일감 925억 규모 발주…2025년까지 1조 계획
- 산업부, 유턴기업 범위 확대 개정안 입법예고
- 빨라지는 로봇시대, 한걸음 더 가까이
- 차세대 물류로봇도 구독서비스로
- SK지오센트릭, 재생원료로 만든 ‘리뉴어블 벤젠’ 첫 수출
- 현대차, 미쉐린과 전기차 전용 타이어 만든다
- 현대건설, 3년 연속 도시정비사업 최대 실적 경신
- LG화학, 수소로 NCC 공장 돌린다
- 엔데믹 기대감…국내외 전시회 더욱 풍성해진다
- 산업계, 본격 탄소중립 투자…정부에 4천억원 융자지원 신청
- 삼표그룹, 개발 전문가 김한기 사장 선임
- 금호타이어, SUV전용 프리미엄 타이어 ‘크루젠 HP51’ 출시
- ‘e편한세상 지축 센텀가든’, 올해 경기 최다 청약 접수
- 현대건설, 도시정비사업 ‘7조원 수주’ 목전
- [오늘의 금융家] ‘신한 켄드리엄 유럽이노베이션 펀드’ 출시 등
- 두산에너빌리티, SGRE와 맞손…해상풍력 사업 확대
- LG엔솔, 美 컴파스 미네랄과 리튬 공급 MOU
- 삼성전자, 포장재에 친환경 소재 적용 확대
- 韓 조선업, 상반기 세계 발주량 46% 수주…4년만에 1위 탈환
- [이지경제 뉴스데스크] 상반기 신규 등록 수입차, 13만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