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 슬래브 층간소음 저감 성능인정서 취득
철거대상 아파트서 ‘스마트 3중바닥구조’ 실험
[이지경제=이승렬 기자] 80~90년대 지어진 아파트 리모델링 단지도 층간소음 고민이 해결될 전망이다.

대우건설(대표이사 백정완)은 스마트 3중 바닥구조’를 곧 철거에 임박한 단지에 적용해본 결과 층간소음 저감성능을 확인했다고 20일 밝혔다.
통상 리모델링 대상이 되는 구축아파트의 경우 슬래브 두께가 150㎜ 미만으로 층간소음에 취약한 구조가 대부분이다.
대우건설은 실험실이 아니라 실제 80~90년대에 지어진 구축아파트에서 슬래브 마감을 철거하고 그 위에 특허받은 ‘스마트 3중바닥구조’를 시공해 층간소음 저감성능을 인정받았다.
업계 최초로 슬래브 두께 120㎜의 실제 현장에서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성능인정서를 취득한 것이다.

올해 3월부터 약 7개월간 시험기간을 통해 대우건설은 자체 개발한 ‘스마트 3중 바닥구조’를 활용해 단순히 슬래브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아도 층간소음을 개선할 수 있음을 입증한 셈이다.
‘스마트 3중 바닥구조’는 ▲1st Layer-내력강화 콘크리트 ▲2nd Layer-고탄성 완충재 ▲3rd Layer–강화 모르타르 모르타르(mortar) : 시멘트와 모래를 섞어 만든 자재로 바닥면을 평평하고 단단하게 해주는 역할로 구성된다.
기존 아파트 바닥구조 보다 재료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성능이 강화됐다.
대우건설은 작년 1월 관련 기술의 특허 등록(특허 10-2210028호)을 완료했으며, 해당 구조를 시공하기 위한 추가 기술 2건도 특허 출원했다. 뿐만 아니라 소음 발생 강도를 세대 내 월패드를 통해 알려주는 ‘층간소음 알리미’ 기술(특허 10-2185163호)도 추가됐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다년간의 연구를 통해 층간소음 저감과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최적의 바닥구조를 개발해 리모델링 단지의 난제를 해결했다”며, “리모델링 단지 뿐만이 아니라 신규 사업계획 승인대상인 푸르지오 단지부터 스마트 3중 바닥구조를 적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KGC인삼공사, 개인맞춤형 헬스케어 시장 진출
- 중기부-현대차, ‘新동반성장 협약’ 체결
- 사과철 맞은 유통家, 기획행사 연다
- [오늘의 금융家] 신한은행-국민은행, 고객 편의 높인다
- 식약처, 케이엠에스제약 43개 품목 제조·판매 중지 조치
- GM 한국 출범 20주년, ‘GM 글로벌 생산기지’ 청사진
- 창업 아이템 총망라…‘제53회 IFS프랜차이즈서울’ 20일 코엑스서 개막
- 신규확진 2만5천431명, 1주 전比 1천500여명 감소
- 북미 공급망 강화…LG에너지솔루션, 호주서 천연흑연 공급
- 고물가에 외식 대신 집밥...관련 제품 수요ㆍ출시 늘어
- LG U+,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만든 리모컨 도입
- KT, 글로벌 무대에서 ‘최고 기술력’으로 통한다
- ‘삼성 소프트웨어 개발자 콘퍼런스’ 11월 개최
- 푸짐하고 맛 보장하는 가정 간편식 제품 인기
- SK이노, 울산CLX에 첨단 로봇 도입…안전 사각지대 없앤다
- 아이오닉5, 전기차 최초 ‘올해의 SUV’ 선정
- 소비자가 원하는 아파트 1위는 ‘푸르지오써밋’
- 현대엔지니어링, 올해 리모델링 사업 1.2조 규모 수주 달성
- 논산 첫 ‘아이파크’ 10월 말 견본주택 개관
- 현대건설, 층간소음 저감 기술 및 실증 연구시설 가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