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산업단지 혁신 종합대책’ 발표
디지털화 등 5대 분야, 83개 정책 과제
집적효과 극대화 전방위적인 혁신 추진
[이지경제=윤현옥 기자] 산업통상자원부가 3일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국가경제 핵심거점으로 다시 한번 도약할 수 있도록 하는 ‘산업단지 혁신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4일 산업부에 따르면 이번 종합대책은 산업단지 디지털화, 저탄소화, 근로·정주 여건 개선, 안전강화, 입지규제 혁신의 5대 분야에 총 83개 정책과제로 구성됐다.
민간이 끌고 정부가 밀어주는 방식으로, 산업단지 효율을 높이고 꼭 필요한 곳에 아낌없이 재정투입과 지원을 하겠다는 의지를 담았다.
주요 입주기업인 중소기업에 맞춰 산업단지의 디지털 인프라를 추진하고 산업단지별 특성에 맞게 탄소저감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저렴한 창업공간 제공, 제조기업 매칭지원, 특화교육실시 등 청년창업과 좋은 일자리 창출에도 적극 나선다.
장영진 산업부 장영진 차관은 “산업단지 대책은 곧 우리 제조업 전체의 성장 전략이며, 지방시대 실현을 위한 핵심전략”이라며, “산업단지만이 가질 수 있는 장점, 즉 본연의 집적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산업단지와 입주기업이 스스로 변화해 나갈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산업단지 정책의 근간”이라 강조했다.
한편 2021년말 기준 전국에 1257개 산업단지에는 11만여개 기업이 입주해있다. 227만여명이 고용돼 우리나라 제조업 생산의 63%(1104조원), 수출의 66%(4024억불), 고용의 47%(227만명)를 담당하고 있다.
관련기사
- 굴착기에 광케이블 매설위치 실시간 공유서비스 구축
- DL그룹, 친환경 신사업에 가속도
- KT&G, 3천500억 자사주 매입 추진…주주가치 제고
- 동아오츠카, KOVO와 음료 스폰서 5시즌 연장 계약
- 신규확진 4만3천449명…1주 전比 7천500여명 多
- 킨텍스, 인도전시장 건립 ‘순항’…내년말 완공 전망
- 올해 특허기술상 ‘세종대왕상’에 효성
- 삼성전자, 제54기 임시 주주총회 개최…사외이사에 허은녕·유명희 선임
- 정부, 신재생에너지 정책 개편…보급목표 낮춰
- 10월 자동차 판매…현대 35만· 기아 24만· 한국지엠2만7천
- CJ온스타일, 유튜브서 라방 동시 송출
- “초격차 스타트업 1천개 만든다”
- [오늘의 금융家] 우리금융, 취약계층에 방한용품 지원 外
- 글로벌브랜드가치 평가…삼성 5위· 현대차 35위
- 대우건설, ‘한남2구역’ 시공사 선정
- 삼성전자, 초고주파 5G통신 ‘혁신’ 달성
- [오늘의 금융家] 우리금융, 금융ESG주제 국제컨퍼런스 개최 外
- 내년 상반기 국회에 자율주행자동차 도입
- ‘중견기업인의 날’…업계, ‘3대 혁신성장 선언’ 발표
- ‘2022 중견기업 주간’ 개막…디지털 전환·성과 확산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