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22년 11월 소비자물가동향’ 발표
농축수산물 5%→0.3% 둔화…근원물가 5%↑
[이지경제=정윤서 기자]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대에 머물렀지만, 전월보다는 오름폭이 낮아졌다.
소비자물가는 4개월 연속 5%대에 머물렀다. 상승 폭은 지난 4월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둔화했다. 석유류와 함께 농축수산물의 가격 상승세가 둔화하면서 전체 물가의 오름세도 낮아졌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11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9.10(2020=100)으로 1년 전보다 5.0% 오르며 넉 달 연속 5% 상승률을 보였다. 지난 4월(4.8%) 이후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계절적 요인 등을 고려해 주로 전년 동월과 비교하는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2월까지 5개월 연속 3%대를 보이더니 3월(4.1%), 4월(4.8%) 4%대에 이어 5월(5.4%)에는 5%대로 올라섰다.
6월(6.0%)과 7월(6.3%) 6%대까지 치솟았던 물가상승률은 8월(5.7%), 9월(5.6%) 두 달 연속 둔화했다가 10월(5.7%) 다시 확대됐지만, 지난달 오름세가 큰 폭으로 축소됐다.
품목별로 보면 농축수산물 가격이 0.3% 올라 전월(5.2%)보다 상승 폭이 크게 둔화했다.
농산물이 2.0% 하락했다. 농산물 가격이 1년 전보다 하락한 건 지난 5월(-0.6%) 이후 처음이다. 채소류가 2.7% 하락했다.
축산물은 1.1%, 수산물은 6.8% 각각 올랐다.
농축수산물의 전체 물가에 대한 기여도는 10월 0.46%포인트에서 0.03%포인트로 낮아졌다.
공업제품은 5.9% 올라 전월(6.3%)보다 둔화하는 양상이 이어졌다. 석유류가 5.6%, 가공식품이 9.4% 각각 올랐다.
석유류 상승률은 지난 6월 39.6%를 정점으로 7월 35.1%, 10월 10.7%로 점점 낮아지고 있다.
전기·가스·수도는 23.1% 상승해 전월 상승률(23.1%)과 같은 수준을 나타냈다. 전기·가스·수도 상승률은 지난 10월 공공요금 인상으로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0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바 있다.
개인서비스 상승률은 6.2%로 전월(6.4%)보다 둔화했다.
외식이 8.6%, 외식외 개인서비스가 4.5% 각각 올랐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 상승률은 전월과 같은 4.8%로 2009년 2월(5.2%)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또 다른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4.3% 올라 2008년 12월(4.5%) 이후 가장 높았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5.5% 올라 전월(6.5%)보다 둔화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가공식품 등 공업제품과 외식 등 개인서비스 그리고 전기·가스·수도 가격이 높은 오름세를 지속했다”라며 “다만 채소 등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등 공업제품 가격의 오름세가 많이 둔화하며 상승 폭은 전월에 비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 자동차 3社, 11월 전세계 판매량 62만7천대
- [12월 1주 유통家 주요 소식] 농심 새우깡, 연매출 1천억원 브랜드 등극 外
- 강원강 창업주, 교촌 회장 복귀…“책임경영으로 100년 기업 만들 것”
- 겨울 집꾸미기 노하우 공개…‘2022 홈·테이블데코페어’, 개막
- 올해의 인기차량 ‘N 비전 74’· 올해의 자동차회사 ‘기아’
- SPC, 노동조합과 함께 ‘근로환경 TF’ 발족
- 올 3분기 GDP 성장률 0.3%...실질 국민총생산 0.7% 줄어
- 11월 수출 두 달 연속 마이너스…작년 동월比 14% 급감
- 동서식품, 인스턴트 커피 9.8% 가격 인상
- 유통업계, 협력사ㆍ소상공인과의 ‘상생’에 한 뜻
- 농심, 북미 매출 23% 성장…사상 최대 실적 달성
- “설 선물세트 미리 예약하세요”
- 로봇청소기·와인셀러·얼음정수기, 생활가전 프로모션 눈길
- KT, ‘글로텔 2022’ 선정 ‘글로벌 최고 통신사’
- 서경덕 ‘수어 넣은 역사탐방’…티몬 장애청년카페 ‘툭’
- SK이노 ‘행복나눔’ 실천…쿠팡 ‘장애인 선수단’ 운영
- “추운 겨울 프리미엄 메뉴로 보양하세요”
- “밥이 보약”...환자식·채식, 간편식 밥의 진화
- CJ제일제당, 유럽에 김치 수출… ‘발효제어기술’로 상온서 12개월 보관
- 무역적자 확대에도 韓수출 세계 6위…‘제59회 무역의날’ 기념식
- [오늘의 금융家] IBK기업은행, 구천동 공구시장 희망디자인 기부 外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