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표준 전문기관 인증...탄소감축량 59만톤 제품 배분 판매

[이지경제=최준 기자] 포스코는 최근 탄소저감 브랜드 제품을 출시했다.
포스코가 출시한 그리닛(Greenate certified steel)은 탄소감축량 배분형 제품으로 저탄소 생산공정 도입·저탄소 철원 사용 등을 통해 감축한 탄소 배출량을 배분 받아 기존 탄소 배출량을 저감한 특정 제품을 의미한다. 해당 제품을 구매한 고객사는 그에 상당하는 탄소 배출량을 저감한 것으로 인정받는다.
그리닛은 이오토포스(e Autopos), 이노빌트(INNOVILT), 그린어블(Greenable)로 대표되는 3대 친환경 철강 브랜드 제품은 물론 저탄소 철강 및 친환경 이차전지소재 생산을 위한 포스코그룹의 모든 노력과 제품을 포괄한다.
이미 유럽·일본 등 글로벌 철강사들은 탄소감축량 배분 방식을 2021년부터 도입했으나 국내에서는 포스코가 처음으로 해당 방식을 채택해 탄소저감 제품을 출시하게 됐다.
탄소 배출량과 감축량 산정은 온실가스 배출 관련 공시에서 국제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표준인 GHG Protocol(온실가스 규정)에 기반했다.
또한 감축방법·감축량·배분방식 검증은 세계 3대 인증기관이면서 글로벌 철강사 탄소저감 강재 인증 경험이 가장 많은 DNV(Det Norske Veritas) UK가 포항제철소와 광양제철소 실사를 통해 수행했다.
그리닛 구매 고객사에게는 탄소 감축량 정보가 기재된 DNV의 제품보증서와 포스코의 구매인증서가 제공돼 고객사는 원재료 부문 탄소 감축량을 보증받을 수 있다.
포스코가 이번에 인증 받은 탄소감축량은 총 59만톤(tCO₂)으로 2022년 1월부터 8월까지 고로와 전로에서 각각 펠렛과 스크랩 사용 비율을 높여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탄소 배출량를 줄였다.
철강생산량(t-steel) 대비 탄소배출량(t-CO₂)을 나타내는 탄소배출원단위가 약 2톤(t-CO₂/t-steel)이므로 포스코는 약 20~30만톤을 그리닛으로 판매할 수 있게 됐다.
포스코는 기존 고로 기반 저탄소 조업기술을 향상시키고 전기로 신설을 통해 2026년부터는 용강을 직접생산하거나 고로에서 생산된 용선과의 합탕 방식을 통해 탄소배출을 감축할 예정이다. 2026년 수소환원제철 시험설비 준공 후 2030년까지 상용화 기술 개발을 완료해 단계적으로 수소환원제철 방식으로 생산설비를 전환해나갈 계획이다.
엄기천 마케팅전략실장은 “철강업계에서 탄소저감은 피할 수 없는 흐름으로 포스코는 다양한 제품군 출시를 통해 적극 대응하고 있다”면서 “그리닛 제품 론칭으로 철강시장에서 탄소중립이라는 먼 여정을 항한 발걸음을 내딛으려 한다”고 말했다.
- 최정우 포스코 회장 “북미서 글로벌 협력 강화 추진”
- JW중외제약, 국내 첫 ‘하이브리드 보육기’ 출시
- 동아에스티, 비만치료제 ‘DA-1726’ 체중 감소 우수성 발표
- 동국제약 센텔리안24, ‘엑스퍼트 마데카 점보 에디션’ 출시
- 삼양식품, 삼양라면 등 12개 대표 품목 평균 4.7% ↓
- K-콘텐츠 글로벌화에 길을 묻다...‘2023 CJ ENM 컬처TALK’
- 파이브빈스, 고양이 영양간식 ‘건강하쮸’ 출시
- [바이오제약, 오늘] 대웅제약, 신약 출시 1주년 ‘펙수클루 위크’ 개최 外
- [인사] 한독, 김미연 신임 사장 선임
- 인테리어업계, ‘3D 플랫폼 도입’ 가속화
- 창원 산단에 ‘신재생 발전 인프라’ 구축…수출기업 ‘RE100’ 고민 해결
- 할매니얼 트렌드 지속…유통家, 쌀 제품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