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유입 338명, 이틀째 300명대…위중증 69명·사망 16명
정부, 여름 유행 최대 20만명·9월 중순~10월 중순 정점 예상
[이지경제=김성미 기자] 코로나19 유행의 재확산세가 거센 가운데 13일 신규 확진자 수가 4만명에 육박했다.
14일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3만9196명 늘어 누적 1864만1278명이 됐다고 밝혔다.
최근들어 신규 확진자 수 증가와 함께 해외유입 사례의 증가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13일 해외유입 사례는 338명으로, 전날(398명)보다는 60명 줄었지만, 이틀째 300명대를 기록했다.
해외유입 확진자 수는 오미크론 변이 유행 초기 406명(1월 14일)까지 올라갔던 1월 중순과 비슷한 수준이다. 입국자 격리면제와 국제선 항공편 증설 이후 입국자가 늘어난 영향이다.
신규 확진자 중 해외 유입 사례를 제외한 국내 지역 감염 사례는 3만8858명이었다.
해외유입을 포함한 지역별 확진자 수는 경기 1만635명, 서울 9655명, 부산 2361명, 경남 2085명, 인천 1967명, 경북 1573명, 충남 1516명, 대구 1281명, 울산 1086명, 전북 1149명, 충북 1044명, 강원 1037명, 대전 1022명, 제주 854명, 전남 850명, 광주 800명, 세종 266명, 검역 15명이다.
수도권에서 2만2257명(56.8%), 비수도권에서 1만6939명(43.2%)의 확진자가 나왔다.
전날(4만266명)보다는 1천70명 줄었지만, 1주일 사이에 신규 확진자 수가 2배로 증가하는 ‘더블링’ 현상은 계속되고 있다.
이날 신규 확진자 수는 1주일 전인 6일(1만8504명)의 2.12배였고, 2주일 전인 지난달 29일(9591명)의 4.09배에 달했다.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달 26일 3천423명까지 내려갔다가 반등세로 돌아섰고, 이달 초부터는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확진자 규모가 빠른 속도로 커지자 정부는 전날 4차백신 접종 대상자에 50대와 18세 이상 기저질환자 등을 추가하되 사회적 거리두기는 강화 없이 자율에 맡기는 내용의 방역·의료 대응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그러면서 전파율이 높아질 경우 신규 확진자가 최대 20만6600명까지 높아질 수 있고, 9월 중순~10월 중순 정점에 도달할 것이라는 예측치를 내놓기도 했다.
위중증 환자수는 69명으로, 전날보다 2명 늘었다. 당장 의료체계에 부담을 줄 만한 수준은 아니다.
중환자 전담치료병상 가동률은 11.0%(1426개 중 157개 사용)로 전날(10.0%)보다 1.0%포인트(p) 올랐다. 준중증 병상 가동률은 21.7%, 중등증 병상 가동률은 16.6%로 각각 전날보다 1.9%p, 1.0%p 늘었다.
신규 확진자 증가로 이날 0시 기준 재택 치료중인 확진자 수는 전날(13만7211)보다 2만1107명 늘어 15만8318명이 됐다.
전날 사망한 코로나19 확진자는 16명으로 직전일보다 4명 늘었다.
사망자 중에서는 10대가 1명 추가됐다. 코로나19로 사망한 10대 사망자는 모두 12명이 됐다.
사망자 중 절반(8명)은 80대 이상이었고 70대 1명, 60대 2명, 50대 4명이었다.
누적 사망자는 2만4696명, 코로나19 누적 치명률은 0.13%다.
- “소아 뇌전증 환자, 대마 성분 약 휴대하고 출입국 가능”
- 오미크론으로 연기됐던 獨전시회 ‘잇단 흥행’…”대면 수요↑”
- 여름철 식품에 벌레·곰팡이 예방·대처법은?
- 신규확진 4만명 넘었다…12일 4만266명
- ‘3만명 훌쩍’ 11일 신규확진 3만7천360명
- 식약처, 미국·유럽 등 해외 의약품 규제동향 정보집 발간
- 한국타이어, 아우디 전기차에 신차용 타이어 연이어 공급
- 식약처, 소비자단체와 식의약 안전정책 협력 강화
- 신규확진 ‘더블링’ 지속…14일 3만8천882명
- ‘더블링’ 지속, 일요일 12주만에 최다…17일 2만6천299명 확진
- 식약처, 코로나19 자가검사키트 “재고 충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