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 음영지역에 RIS 적용 후 주파수 대역별 통신 성능 최대 60배 개선 확인
KT “다양한 기업과 협업해 6G 기술 확보하고 무선 기술 경쟁력 강화하겠다”

[이지경제=정석규 기자] KT는 LG전자, 코닝과 함께 6G(6세대 이동통신) 주파수 후보 대역별로 동작하는 RIS(재구성 가능한 지능형 표면)를 개발해 검증했다고 26일 밝혔다.
RIS는 투명한 유리나 패널 형태의 전파 반사체를 전파가 통과하기 어려운 건물 내부의 복도나 유리창에 부착해 전파의 도달 범위를 늘리는 기술이다. 전파의 파장 길이를 고려해 설계되기에 주파수 대역에 따라 구조와 소재, 동작 방식이 다르다.
KT는 현재 주파수 후보 대역이 논의되는 6G 시대를 대비해 LG전자, 코닝과 서울 서초구 KT 연구개발센터에서 주파수 대역별로 다르게 동작하는 RIS의 성능을 검증했다. 이 과정에서 무선망을 구성하는 표준기술과 장비개발과 장비 구축 운용 역량 등 각 사가 보유한 전문성을 활용했다.
3사는 6G 주파수 후보 대역으로 관심을 받는 FR3 대역의 8기가헤르츠(GHz), 15GHz 대역과 밀리미터파(mmWave) 대역 등에서 유리, 다이오드, 액정 소재 등 다양한 시료로 제작한 RIS를 검증했다. 무선 통신 품질이 약한 복도와 사무실에서 RIS를 적용하기 전과 후의 신호 세기를 비교한 결과 작게는 4배부터 크게는 60배까지 주파수 대역별로 무선 통신 성능이 개선됐다.
특히 15GHz 대역의 RIS는 전력 소모가 없는 투명한 유리 소재로 구성돼 건물 내 다양한 환경에 적용하기 쉽고, 8GHz 대역의 RIS는 반도체 소재로 구성돼 소량의 전력으로 전파의 입사와 반사 방향을 실시간으로 조정할 수 있는 점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KT와 LG전자, 코닝은 다양한 소재의 RIS를 활용하면 주파수 대역에 따라 발생하는 무선 음영 지역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확보한 검증 결과는 RIS를 비롯해 6G 기술 고도화를 위한 연구 데이터로 활용할 계획이다.
제영호 LG전자 CTO부문 C&M표준연구소장(상무)은 “6G는 기존 이동통신 대비 높은 주파수 대역을 활용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비용 효율적으로 커버리지 확보가 가능한 RIS 기술로 통신 품질을 크게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며 “KT와의 협력이 RIS 연구개발에서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종식 KT 융합기술원 인프라DX연구소장(상무)은 “이번에 공동 검증한 RIS 기술은 KT 고객의 무선 네트워크 체감 품질을 높이고 통신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기술이 될 것”이라며 “계속해서 KT는 국내외 연구 기관, 제조사와 협업해 5G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6G 생태계를 확대하면서 무선망 기술개발을 선도하겠다”고 강조했다.
- KT, 한국전자전 2023서 디지털 플랫폼 공개
- KT, 프랑스에서 차세대 인터넷 고도화 솔루션 소개
- KT, 마케팅 디지털 전환 기업 초청 세미나 개최
- KT, 현대리바트와 함께 인테리어사업 디지털전환 시작
- KT, 네트워크 트래픽 진단 솔루션 ‘DX 케어’ 선보여
- 롯데시네마, 영화로 만나는 백지영 콘서트 개봉
- 동화약품, 3세대 ‘후시드 바이옴 유스 크림’ 출시
- 대웅제약, ‘2030년 신약 매출 1조’ 비전 전격 공개
- KT, UAM 5G 상공망 특화 안테나 검증 완료
- KT, 초거대 AI ‘믿음’ 출시…“B2B에 특화”
- LG전자, 제네시스 GV80에 차량용 웹OS 공급
- KT, 텔콤 인도네시아와 신수도 스마트시티 개발 맞손
- KT, 광주창업페스티벌서 AI '믿음' 기반 솔루션 선보여
- 역대 최고 매출 KT, 인건비 상승에 3분기 영업익↓
- LG전자, 전국 인기숙소 100곳서 주방가전 체험 마케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