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용 AI기반 계측기술 관련 논문 2건 양사 합동 발표
가우스랩스 기술로 반도체 공정 산포·장비 생산성 개선

[이지경제=정석규 기자] SK하이닉스와 가우스랩스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에서 열린 ‘국제 광학·포토닉스 협회 첨단 리소그래피(SPIE AL) 2024‘에 참가해 인공지능(AI) 기반 반도체 계측 기술 개발 성과를 발표했다고 29일 밝혔다.
SK하이닉스는 반도체 수율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그동안 가우스랩스와 다양한 영역에서 협업해왔다. 이번 학회에서 두 회사의 개발 성과가 담긴 논문 2편을 발표했다.
가우스랩스는 인공지능(AI) 기반 가상 계측(VM) 솔루션 ‘파놉테스 VM‘의 예측 정확도를 높이는 알고리즘인 ‘통합 적응형 온라인 모델‘을 소개했다.
SK하이닉스는 2022년 12월부터 파놉테스 VM을 도입해 현재까지 5000만장 이상의 웨이퍼에 가상 계측을 진행했다.
이를 시간으로 환산하면 초당 1개 이상의 웨이퍼를 가상 계측한 것이다. 이 소프트웨어의 성능에 힘입어 SK하이닉스는 공정 산포(제품의 품질 변동 크기)를 약 29% 개선했다.
가우스랩스가 새로 공개한 알고리즘은 기존 적응형 온라인 모델을 업그레이드한 버전으로, 데이터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예측 정확도를 높였다.
김영한 가우스랩스 대표는 ”앞으로도 AI 기반의 다양한 솔루션 제품을 지속 출시해 제조 현장의 인공지능화를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SK하이닉스, ‘행복나눔기금’ 23억원 기탁
- SK하닉 최연소 임원 "321단 4D 낸드, 업계 이정표 될 것"
- 김주선 SK하닉 사장 “관성 벗어나 혁신으로 시장 지배”
- 반도체 회복세 뚜렷...업계 전망도 ‘호조’
- SK하이닉스, 재활용 소재 사용 중장기 계획 수립...업계 최초
- SK하이닉스 오해순 부사장 “낸드 도약 원년 만들 것”
- 곽노정 사장 "고객 맞춤형 메모리 플랫폼 선보인다"
- SK하이닉스, 곽노정 단독 대표 체제 전환
- 바디프랜드, 신제품 ‘에덴’ 광고 캠페인 영상 떴다
- KCC글라스, 초고단열 더블로이유리 컬리넌 ‘실버&그레이’ 색상 출시
- SK하이닉스, 5세대 초고성능 AI 메모리 세계 최초 양산
- SK하이닉스, ‘GTC 2024‘서 온디바이스 AI PC용 SSD 신제품 공개
- SK하이닉스, 업계 최초 네온 가스 재활용 기술 개발
- SK하이닉스, TSMC와 손잡고 HBM 기술 리더십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