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 지주사 중심 주주가치 제고 노력 지속”
중장기 배당정책 수립·자사주 소각도 진행중

[이지경제=김성미 기자] 단일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고 주주환원 강화 전략을 펼쳐온 현대백화점그룹 10개 상장 계열사들이 이번 정기 주주총회에서 배당 절차를 개선한다.
현대백화점그룹은 20일 현대지에프홀딩스·현대백화점·현대홈쇼핑·현대그린푸드·한섬·현대리바트·지누스·현대에버다임·현대이지웰·대원강업 등 그룹 내 10개 상장 계열사가 이달 중 열리는 주주총회에서 배당기준일 관련 정관 개정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현재의 ‘선(先) 배당기준일, 후(後) 배당액 확정 방식’을 ‘선 배당액, 후 배당기준일 확정 방식’으로 바꾸기로 한 것이다. 이렇게 되면 투자자들은 배당금을 먼저 확인한 뒤 투자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회사는 설명했다.
이에 따라 현대백화점그룹 10개 상장 계열사는 기존 ‘매결산기말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주 또는 등록질권자에게 배당을 지급한다’는 정관 내용을 ‘이사회 결의로 이익배당을 받을 주주를 확정하기 위한 기준일을 정할 수 있으며, 기준일을 정한 후에는 그 기준일의 2주 전에 이를 공고해야 한다’로 개정한다.
배당 정책 개선은 선진국처럼 회사 배당액이 확정된 후 투자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기준일을 의결관과 기준일을 분리하도록 정관을 개정하라는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다.
현대백화점그룹 관계자는 “배당기준일 관련 정관 변경안이 주총에서 통과되면 10개 상장 계열사는 내년 3월 주총에서 배당금 규모를 확정한 뒤 4월경 결정되는 배당기준일에 주식을 보유한 주주에게 배당금을 지급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주주 입장에서는 배당 규모를 확인하고 난 뒤 투자 여부를 판단하고 결정할 수 있어 배당 예측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해 단일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한 현대백화점그룹은 주주 환원 개선 의지를 담은 계열사별 중장기 배당 정책을 수립해 최근 발표했다.
대표적인 주주 환원책으로 꼽히는 자사주 소각도 진행중이다.
지누스가 발행주식 수의 약 2.3% 수준을 오는 4월 내에 소각할 예정이다. 현대그린푸드는 오는 2028년까지 자사주 10.6%를 신규로 매입해 소각한다. 앞서 현대지에프홀딩스와 한섬은 각각 발행주식의 약 4%와 5%의 자사주를 소각했다.
현대백화점그룹은 중장기 배당 정책 수립, 자사주 소각과 더불어 시장과의 소통 강화에도 나선다. 지난해 그룹 내 모든 상장 계열사가 참여한 통합 기업설명회(IR)를 진행했으며 올 상반기 중에도 통합 IR을 진행할 예정이다.
그룹 지주사 현대지에프홀딩스 관계자는 “앞으로도 시장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보다 전향적인 주주 친화 정책을 마련해 추진할 계획”이라며 “단일 지주회사 중심의 새로운 지배구조가 구축된 만큼 그룹 차원에서 자회사의 기업가치 제고와 주주가치를 높이는데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日, 17년만에 ‘금리인상‘ 단행...엔화 가격 오르나
- 한미사이언스 “주주가치 제고 약속...‘한미의 미래’ 선택해 주시길”
- 작년 기업결합 심사 927건…고금리 등 여파로 2년째 감소세
- [이지기획] 4대 금융, 여성 임원 확대·전문성 중심 지배구조 개편 ①
- [이지기획] 이목 집중된 금융사 주주환원책...배당 올리고 자사주 매입 ②·끝
- CJ제일제당, 밀가루 가격 인하…“물가 안정에 동참”
- 伊 파스쿠찌 CEO 방한…SPC그룹과 협력방안 논의
- ‘불황형 대출’ 보험약관대출 잔액 최대…카드연체도 증가
- LG생활건강, ‘구찌 글로스 아 레브르’ 출시
- 온라인 유통家, ‘미리 온(ON) 동행축제’ 동참...할인·판촉 행사 ‘풍성’
- CJ올리브영, 웰니스 카테고리 강화…앱인앱 ‘헬스+’ 출시
- 플리츠마마, 물 사용 없는 ‘제로블랙 에디션’ 제품 출시
- 한섬, 美 프리미엄 데님 브랜드 ‘리던’ 국내 단독 매장 첫 오픈
- 현대百, K패션 해외 진출 전초기 ‘더현대 글로벌’ 론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