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인천국제공항公·KT·현대건설 컨소 실증 완료
eVTOL 항공기·UAM 운용 시스템·5G 통합시스템 검증

[이지경제=김성미 기자] 현대자동차가 국내 UAM(도심항공교통) 상용화를 위한 첫 실증사업에 성공했다.
현대차는 대한항공, 인천국제공항공사, KT, 현대건설과 함께 전라남도 고흥 국가종합비행성능시험장에서 약 5주간 진행한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그랜드챌린지’ 1단계를 성공적으로 완수했다고 24일 밝혔다.
K-UAM 그랜드챌린지는 국토교통부가 2025년 국내 UAM 상용화를 목표로 기체 안전성을 검증하고, 국내 여건에 맞는 운용 개념 및 기술 기준 등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하는 민관 합동 대규모 실증사업이다.
현대차는 실증사업 참가를 위해 2021년 대한항공, 인천국제공항공사, KT, 현대건설과 함께 ‘K-UAM 원 팀’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현대차와 4개사는 이번 K-UAM 그랜드 챌린지 1단계에 참가해 ▲기체 및 운항 ▲교통관리 ▲버티포트(Vertiport)에 대한 공동 검증을 완료했다. 또 세계 최초로 수직이착륙항공기(eVTOL)와 UAM 운용시스템, 5G 항공통신망 간의 통합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검증했다.
먼저 현대차는 UAM과 육상 모빌리티를 연결하는 MaaS(다양한 교통수단을 연계한 단일 플랫폼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고 UAM을 이용하는 승객이 출발지에서부터 최종 목적지까지 다양한 모빌리티를 연결해 이동하는 과정을 실증했다. 나아가 국내 사업모델 수립을 위한 구체적 기반을 마련했다. 현대차는 이번 실증을 통해 얻은 결과물을 향후 기체개발 및 제품전략 수립에 반영할 계획이다.
대한항공은 현재 개발중인 UAM용 운항통제시스템과 교통관리시스템의 안정성을 검증했고, 인천국제공항공사는 버티포트 운영 시스템 등이 원활하게 운영되는지 확인했다.
KT는 비행에 필요한 교통 및 안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고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 구축 체계를 마련했다. 현대건설은 UAM 수직 이착륙장인 버티포트 설계·시공기술 고도화를 위해 혼잡도 및 보행체계 시뮬레이션 분석을 진행했다.
현대차 등 4개사는 이번 1단계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UAM 사업에 필요한 시스템과 프로세스를 더욱 고도화하고, 국내 UAM 산업 활성화 및 조기 상용화를 위해 지속 협력할 예정이다.
김철웅 현대차 AAM사업추진담당(상무)는 “미래 고객이 UAM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각 영역에서 풍부한 사업추진 경험과 노하우를 가진 컨소시엄과 긴밀하게 협업해 국내 UAM 사업 구체화를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차는 현대차그룹의 UAM 독립법인 ‘슈퍼널’을 통해 ‘CES 2024’에서 차세대 UAM 기체 S-A2의 실물을 최초 공개하고 미래항공모빌리티(AAM) 생태계 구축 전략을 발표하고 2028년 글로벌 UAM 상용화를 목표로 연구 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 한화오션, 1분기 영업익 529억…‘흑자전환’
- KT “모바일 앱으로 우리 가족 통신 업무 처리하세요”
- 현대차·기아, 네덜란드와 스마트 교통안전 정보공유 위한 협력
- 배터리 수출 감소 “배터리 3사 해외생산 비중 확대 때문”
- KAI, 이라크 방산 전시회 참가...중동 마케팅
- 한화 방산3사, ‘이순신방위산업전’ 참가...“함정사업 역량 공개”
- ‘한화임팩트, 사회복지시설에 ‘에너지 효율 개선’ 기부금 전달
- 현대차그룹, 日 도레이그룹과 ‘전략적’ 신소재 개발 협력
- ‘조기 휴가족’ 잡기…항공업계, 항공권 할인·마일리지 행사 ‘풍성’
- [현장] 한 병에 담긴 정성...hy 프로바이오틱스 클래스
- SK네트웍스, 美 실리콘밸리에 AI랩 설립
- 현대차그룹, ‘베이징 모터쇼’서 ‘전동화 경쟁력’ 공개
-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세계 3대 車시장 인도 방문
- 제네시스, ‘GV70 부분변경 모델’ 디자인 공개...내달 출시
- [사진] “개운하게 목욕하고 안전하게 날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