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인, 기업 584곳 대상 '정규직원 축소 현황' 조사
[이지경제=문룡식 기자]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침체가 장기화 되고 있는 가운데 기업 절반 이상은 정규직을 줄였거나 줄일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사람인이 기업 584개사를 대상으로 ‘정규직원 축소 현황’을 조사한 결과, 절반이 넘는 51.2%가 ‘정규직을 줄였거나 줄일 것’이라고 응답했다.

지난해 정규직원수를 줄인 기업(254개사) 중 퇴사자 충원을 하지 않는 방법으로 정규직 수를 줄인 기업이 65%였다. 정규직을 계약직 등 임시직으로 대체한 곳은 18.5%다. 두 가지 방법 모두 실시한 기업은 16.5%로 집계됐다.
이같이 정규직을 줄이거나 임시직으로 대체한 이유는 단연 ‘인건비를 줄이기 위해서’(73.2%, 복수응답)가 1위였다.
다음으로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해서’(48%), ‘해당 자리의 업무량이 줄어서’(31.5%), ‘사업 개편, 축소 등이 예정돼 있어서’(22.4%), ‘경영진의 지시가 있어서’(7.1%) 등이다.
정규직을 임시직으로 대체한 기업(89개사)은 구체적으로 ‘기간제 계약직’(58.4%, 복수응답), ‘단기 아르바이트직’(42.7%), ‘파견직’(13.5%), ‘전문 대행업체에 이관’(7.9%)하는 등의 방법으로 대체했다고 답했다.
임시직으로 대체한 직무는 ‘제조/생산’(32.6%,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다. 계속해서 ‘서비스’(27%), ‘기획/전략’(10.1%), ‘영업/영업관리’(10.1%), ‘IT/정보통신’(10.1%), ‘마케팅’(9%) 등의 순이다.
인건비는 정규직원을 고용할 때 보다 평균 16.9% 절감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응답 기업의 10곳 중 7곳(67.5%)은 인건비에 부담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기업은 전체 비용의 47.8%를 인건비로 지출하고 있었다.
인건비 절감을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는 ‘채용 규모 축소’(49.2%,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들었다. 계속해서 ‘연봉 동결’(45.7%), ‘야근과 특근 금지’(26.6%), ‘상여금 지급 중단’(19%), ‘연봉 삭감’(6.6%)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 [이지 보고서] 직장인 절반 이상 “출퇴근 스트레스…업무에 부정적 영향”
- [이지 보고서] 성인남녀 10명 주 7명 "'연봉'보다는 '워라밸' 중시"
- [이지 보고서] 직장인 10명 중 6명 "설 연휴 '귀향' 대신 '집콕'"
- [이지 보고서] 재택근무 실시 기업 절반 이상 "생산성 차이 없다"
- [이지 보고서] 직장인 10명 중 6명 "언택트 시대 인맥 관리 어려워"
- [이지 보고서] 코로나19 쇼크…기업 10곳 중 7곳 "올해 경영목표 미달"
- [이지경제의 한 컷] ‘코로나19 꼼짝마’…유통계, 대목 장사에 올인
- 中 진출 국적기업, 작년 코로나 직격탄…매출 등 큰폭 감소
- [이지 보고서] 기업 절반이상 “올해 경영환경, 작년보다 더 어려울 것”
- [이지 보고서] 중기 대표 “문재인 정부, 중기 死地로 내몬다”
- [이지 보고서] 기업 5곳 중 3곳, 채용시 '직무역량' 평가 비중↑
- [이지 보고서] 대졸 신입 희망 연봉 4363만원…2년 만에 900만원↑
